세종시, 쌀 수급 안정 및 식량 자급률 향상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추진
- 벼 재배 면적 축소 유도, 농가 소득 증대 및 다양한 혜택 제공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최민호 세종시장은 3일 "쌀 수급 안정과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벼 재배 면적 축소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계작물은 3월 31일, 하계작물은 5월 30일까지 농지 면적이 가장 넓은 읍면사무소에서 전략작물직불제 사업 참여 농가의 신청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전략작물직불제는 정부가 정한 논에 수입 의존성이 높은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에게 직불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신청 대상은 지난해 벼를 재배한 농지, 전략작물직불제 참여 농지 등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농업인이다.
깨(참깨, 들깨)가 신규 지원 품목으로 추가되었고, 동계 밀은 ha당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하계 조사료는 430만 원에서 500만 원으로 인상되었다.
다양한 직불금 지급: 논에 벼 대신 콩, 팥, 녹두 등 두류 재배 시 ha당 200만 원, 조사료 500만 원, 식용 옥수수와 깨는 100만 원의 직불금을 지급한다.
공공비축미곡 추가 배정, 시 자체 장려금 지급, 농기계 지원사업 선정 가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시는 전략작물 전환이 어려운 농가를 위해 논콩 파종·수확 작업, 총체벼 수확·판로 등을 지원하여 전략작물직불제 참여를 유도하고 벼 재배 면적을 감축할 계획이다.
양완식 도농상생국장은 "쌀 적정 생산과 수급 안정을 위해 전략작물 전환이 필요하며, 쌀값 하락 방지를 위해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올해 시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벼 재배 조정(감축) 면적 373ha를 배정받았으며, 벼 재배 면적 감축을 위해 대상 농가에 전략작물직불제 참여를 위한 이해와 설득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