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비상근무 체제 전환...산불방지 ‘총력’

도-시군 전 직원 4분의 1, 계도 및 단속 나서

2025-03-31     권상재 기자

[충청뉴스 권상재 기자] 충남도가 도-시군 비상근무 체제 전환 등 산불방지 및 진화에 선제 대응으로 총력을 가하고 있다.

신동헌 자치안전실장은 31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범국가적 위기상황에 있는 만큼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생활 주변을 두 번, 세 번 살펴서 재난으로 고통받는 도민이 없도록 총력을 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동헌 실장은 ”경남 산청군 산불 발생 하루 전인 지난 20일부터 산불대응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홍성·논산·천안·보령·서산에 임차 헬기 5대를 운용 중“이라며 ”임차 헬기 운용으로 계도 비행을 통해 산불 발생 직후 즉각 현장 출동이 가능해졌고, 1~3월간 5건 이상의 산불을 사전 차단하는 성과를 이뤘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는 ‘야간 산불 신속대응반’ 17조 98명을 편성해 체계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다. 1월 4일 천안시, 2월 19일 천안시, 3월 14일 서천군, 3월 16일 공주시에서 발생한 4건의 산불을 초기 단계에서 진화에 성공했다.

25일부터는 산림청이 오후 4시부로 산불재난 위기경보 ‘심각단계’를 발령함에 따라 비상근무 체제로 전환했으며, 이날 오후 4시 30분에는 박정주 행정부지사 주재로 도-시군 긴급점검 회의를 열어 산불방지 및 대응태세를 확립했다.

현재 도와 시군은 전직원의 4분의 1을 편성해 논·밭두렁 및 영농부산물, 생활쓰레기 소각행위 등에 대한 계도 및 단속을 펼치고 있다.

도내 산불대응장비 가용 현황은 ▲진화헬기 24대 ▲지휘차 25대 ▲진화차량 205대 ▲등짐펌프 9211개 등을 보유하고 있다.

감시·진화 인력으로는 ▲예방진화대 986명 ▲감시원 619명 ▲이·통장 5924명을 동원하고 있으며, 주민 대피시설은 1710곳을 마련했다.

또한 신 실장은 영남지역 산불피해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며 “재해구호기금 3억 5000만 원을 마련,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경북·경남·울산에 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도는 지난 24일 경북도에 임차헬기 1대, 28일 경남에 헬기 3대, 28일 경북에 에어텐트와 음식 등 이재민 구호물품을 전달했고, 도 소방본부는 22일부터 경북·경남에 차량 및 물탱크 등 290여 대 장비를 지원한 바 있다.

현재 진화 헬기와 소방 인력·장비는 모두 복귀에 우리 도 산불 진화에 대비하고 있다.

신 실장은 “봄철은 건조한 날씨와 강풍의 영향으로 영남지역 사례처럼 작은 불씨가 대형 산불로 확산될 위험이 높다”며 “도민분들도 입산자 화기 소지 금지 등 안내에 따라 각별히 주의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