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쎈 충남' 완성 선택한 김태흠, 왜

충청발전 강한 염원 ‘장미대선’ 불출마 이끌어 국정 축소판 도정 성공 통한 '2보 전진' 기대

2025-04-10     박영환 기자

 

김태흠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충청 맏형’ 김태흠 충남지사가 10일 ‘용단’을 내렸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따라 열리는 ‘장미대선’ 불출마를 택했다.

지역 안팎의 강한 출마 요구와 너나없이 출사표를 던지는 혼전 속에서 오직 ‘충청발전’에 방점을 찍고 내린, ‘고뇌에 찬 결단’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서 김 지사의 대선 불출마 결심은 사실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중도 확장성 등을 이유로 자천타천 대선 출마 자격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는 김 지사이기 때문이다.

우선 김 지사의 대선 출마 가능성은 그의 과거 행적에서 엿볼 수 있었다. 반추하면 김 지사는 국회 첫 입성 직후 바로 당권에 도전하는 등 어찌 보면 무모하리라 할 만큼 공격적이지만 오차없이 세밀하게 계산된 정치 행보를 보여왔다.

다수가 ‘계란으로 바위치기’라 평가하는 도전이라도, 지역 발전과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선 어떤 가시밭길도 마다치 않았다. 그렇기에 그의 대선 불출마 결심은 ‘충격적’이라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평가다.

하지만 김 지사 개인의 성정과 삶의 궤적, 그리고 현 정치상황에 비춰 좀 더 깊이 살펴보면 ‘대선 불출마’ 결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지사의 대선 불출마는 충청 정치의 적자(嫡子)로서 ‘책임정치’를 위해 내린 결단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는 것이다.

김 지사는 충청 정치의 간판인 JP(김종필 전 총리) 슬하에서 정치를 시작했다. 지역의 거목이었던 이완구 전 충남지사의 정치적 파트너, 김용환 전 장관의 정치적 아들로 성장했다. 이 같은 배경은 충청지역의 정치적 특성, 김 지사 개인의 중도 확장성 등과 맞물려 그의 대선 출마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해석을 낳았다. 

하지만 김 지사는 현 충청정치의 ‘장자’(長子)로서 ‘장미대선’의 배경과 지역 발전 등을 염두에 두고 ‘자기희생’(自己犧牲)의 길을 택했다.

실제 김 지사의 경우 탄핵 된 윤 전 대통령과 같은 정당 소속으로서 ‘도의적 책임’에 대해 고민을 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직접적 책임은 없지만 김 지사가 개인의 영달을 위해 국민의힘이 함께 지어야 할 ‘짐’을 혼자 내려놓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것.

이와 함께 그의 충청에 대한 애정이 결국 더 높은 곳을 향한 도전의 발목을 잡았다는 해석도 있다. 충남의 도백으로서 ‘힘쎈충남’ 완성을 통한 각종 현안 해결과 메가시티 건설을 위해 ‘2보 전진을 위한 답보’를 택했다는 분석이 그것이다.

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하 듯 김 지사는 불출마의 변을 통해 “제게 주어진 소명과 역할에 대해 많이 고민했다”면서 “도정에 충실하면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찾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