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발전연구원 “미래대전기획위원회 확대 자문회의”
이창기 원장,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전략
대전발전연구원(원장 이창기)은 4월 30일(화) 10시 30분, 전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대덕특구의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전략’이라는 주제로 미래대전기획위원회 확대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염홍철 대전광역시장은 인사말에서 “오늘 기존 미래대전기획위원회 고문들 이외에 대덕특구 기관장, 부원장, 선임부장급, 지역 교수들이 자문위원, 전문위원으로 참석하게 되어 기쁘고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현 정부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대전의역할이 중요하고, 대전은 인적, 물적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있어 충분한 역량이 있다. 또한 대전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창조경제에 대해서 연구하고 준비하고 있었으므로 앞으로는 구체적으로 산-학-연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적합한 이유로 대전은 30여개의 정부출연(연), 기초과학연구원, 카이스트, 2만여명의 석․박사인력등 과학기술인프라가 충분하다. 앞으로 산-한-역 연계 강화를 통한 네크워크 자산 구축, 중앙정부와의 파트너십 구축, 벤처창업이 중견기업으로의 성장 지원 위한 통합적 공간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자문회의에서 김안제 전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장은 “대전은 박사밀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을 정도로 기본적으로 과학적 인프라가 뛰어나다. 앞으로 창조경제를 실천하는데 있어 대전, 오송, 세종지역과의 광역연계를 우선 추진하는게 필요할 것 같다. 또한, 지방정부, 지방연구소의 창의력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지방의 많은 권한과 자율성을 보장해주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희열 전 기초기술연구회이사장은 “대전을 창조경제의 플랫폼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과학기술허브로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특구와 과학벨트를 잘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다국적기업을 유치 또한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신일 전 교육부총리는 “대전시의 정책과 조례를 검토해서 보완하거나 새로 제정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기관, 교육기관의 아이디어들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대전시가 맡아주어야한다. 마지막으로 대전시가 지니고 있는 뛰어난 과학인프라와 대전시민들의 역량을 서로 어우러질게 할 때 대전시의 정책이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달곤 전 행정안전부 장관, 권오룡 전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김형국 전 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송하중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장, 이연숙 정무2장관, 최병선 전 규제개혁위원회 위원장, 김대유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참석하여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