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튀르키예와 지진 연구 등 국제협력 강화 업무협약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 튀르키예 광물탐사연구소(MTA)와 판내부 지진 및 단층, 화산 연구 분야의 국제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이라 밝혔다.
튀르키예 아나톨리안 지괴 중앙부는 판경계와 판내부의 지구조 운동이 함께 관찰되고, 과거 화산 활동의 흔적이 잘 보존된 지역으로 지질재해 연구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한반도와 유사한 활성단층 분포와 지진 재발 특성도 지니고 있어 국내 지진·화산재해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비교연구의 핵심 국가로 튀르키예가 주목받고 있다.
이번 협약식에는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오르한 타타르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 지진재해위험 저감국장, 하심 아우르 튀르키예 광물탐사연구소 부원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지질자원연의 지진상황실 및 연구실 등을 관람하고 국제공동연구 워크숍도 함께 진행하며 단순한 연구 교류를 넘어 실질적인 실무협력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
이번 협약은 세 기관이 각각 보유한 과학기술 및 재해 대응 역량을 바탕으로 지진, 화산, 단층 활동 등 지질재해와 관련된 광범위한 연구 분야에서 협력 체계를 공식화하고 공동 연구와 기술 교류를 본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지질과학 분야의 과학기술 협력 △전문가 및 기술 정보의 교류 △공동 연구 프로그램, 심포지엄 및 워크숍 개최 △연구 장비와 실험실 공동 활용 등이 추진될 계획이다.
또 지진위험 평가, 심부지진 관측을 위한 시추 기술, 지진 감시용 센서 개발, 위성 및 라이다(LiDAR)를 활용한 변위 관측, 화산활동 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지진·화산의 고(古)지진학(paleoseismology) 연구 등도 진행할 예정이다.
세 기관은 지식재산권 보호, 기밀정보 관리, 각국의 법령 준수 사항을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공동 프로젝트와 국제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마련했다.
아울러 정기적인 협의회를 통해 공동 연구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각 프로젝트별 별도의 이행 협정과 세부 실행계획(Research Agreement)을 수립해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권이균 원장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와 유사한 지질 환경을 가진 튀르키예와의 협력을 통해 지질재해 대응 기술 역량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꾸준한 지질재해 연구와 과학기술 교류를 통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앞장서는 지질재해 연구 선진화 기관이 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