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류석영 교수, 세계 최고 권위 컴퓨터학회서 기조강연

2025-06-18     이성현 기자
KAIST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류석영 교수가 18일부터 사흘간 진행되는 세계 최대 컴퓨터학회인 ACM(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이 주관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분야 최고 권위 국제 학술대회인 ‘PLDI(Programming Language Design and Implementation) 2025’에서 기조 강연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PLDI는 지난 46년간 전산학 전체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논문이 다수 발표된 유서 깊은 학술대회다. 프로그래밍 언어와 컴파일러 등 소프트웨어 전반의 기초가 되는 핵심 기술을 발표하고 있다.

학술대회 첫날 기조강연자로 초대된 류석영 교수는 '기술 및 사회적 공익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 프로그래밍 언어는 공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진행한다.

이번 강연에서 류 교수는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언어의 정형화를 통한 소프트웨어 안전성 향상뿐 아니라 프로그래밍 언어 연구가 사회적으로도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식을 사례를 통해 제시할 예정이다.

류석영 교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기술을 넘어서 공익을 실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며 “KAIST 연구진의 이러한 노력이 국내외 연구자들에게도 영감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이와 함께 전산학부 강지훈 교수, 양홍석 교수, 허기홍 교수 연구팀은 이번 PLDI 2025에서 총 5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전체 채택 논문 89편 중 6.7%에 해당하는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한국 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수치로 포항공대가 2편을 발표했다.

특히 강지훈 교수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단독으로 3편의 논문을 발표하며 국내 연구자의 지속적인 두각을 나타냈다.

다섯 편의 논문은 멀티코어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병렬 자료구조 성능 향상 및 검증, 컴파일러의 신뢰성 확보, 프로그래밍 언어 의미론 연구 등을 중심으로 운영체제·데이터베이스 등 고성능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해당 논문들은 ACM 공식 저널 형식의 PACMPL(Proceedings of the ACM on Programming Languages)에 게재됐으며 PLDI 2025 학술대회 현장에서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