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장 선거, 지역세력 VS 외부세력 대결 ?
새누리당 유한식 시장, 최민호, 민주당 이춘희 前 행복청장
<거산의 정치전망대 기획특집 내년 6,4지방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편>
대한민국 행정의 중심지인 세종시 수장을 뽑는 선거는 지난 선거 후보간 ‘지역세력 VS 외부세력 대결 리턴매치’ 가능성이 크다.
초대시장을 지낸 새누리당 소속 유한식 시장이 세종시의 성공적 완성을 기치로 재선 도전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 가운데, 지난 선거에서 유 시장에게 고배를 마신 같은 당 최민호 前 행정도시건설청장과 민주당 이춘희 前 행정도시건설청장이 설욕을 다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내년 선거는 지역 출신인 유 시장과 타지역 출신인 최․이 전 청장간 대결로 비화되면서 지역인물대 외지인물간 대결 구도간 승부로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번 세종시장 선거는 지난해 4월 총선과 함께 치러진 선거가 임기 2년짜리 ‘반쪽’ 시장 선출이었다면 내년 6·4 지방선거는 임기 4년의 온전한 세종시장을 뽑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에 유 시장은 지난 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비전을 실천함은 물론, 지역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며 재선을 위한 발걸음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우선 유 시장은 이번 선거를 통해 ‘반쪽 지자체장’이란 오명을 벗기위해 절치부심 해 온 듯한 모습이 엿보인다. 재보궐선거를 통해 반쪽 임기의 연기군수를 지낸 뒤 다시 2년짜리 시장을 지낸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이 때문에 불거져 나오고 있는 지역내 동정론은 유 시장의 재선가도에 적잖은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유 시장은 지난 세종시 수정 논란 당시 단식과 삭발 투쟁을 불사하는 강경한 모습을 보여 지난 선거에서 지역민의 큰 지지를 받았다.
이와 함께 유 시장의 경우 지난해 대선 당시 새누리당과 선진당간 합당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는 점도 호재로 분석된다. 박근혜 대통령 대선 승리의 주요 요인이었던 양당 합당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평가 때문이다. 이 때문에 유 시장은 현직 프리미엄에 대선 기여까지 겹쳐 당내 공천 국면에서 우위에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현재 새누리당에서는 유 시장과 함께 최민호 前 청장, 유환준 세종시의회 의장, 김광석 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연기군협의회장 등이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차기 시장 후보로 거론된다.
우선 작년 시장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해 낙선의 아픔을 겪은 최 前 청장은 권토중래를 꿈꾸며 바닥민심을 훑고 있다. 세종발전포럼 등에서 활동하며 재기의 발판을 다지고 있는 것이다.
최 前 청장의 경우 부여․청양의 이완구 의원과의 인연이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이 의원의 충남도백을 맡던 시절, 행정부지사로 일하며 호흡을 맞춰 온 것이다. 다만 최 前 청장의 경우 세종시를 광역단체가 아닌 충남도 안에 포함시키려 했다는 점이 다가오는 선거에서도 ‘핸디캡’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김광석 前 민주평통 연기군협의회장과 유환준 세종시의회 의장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출마 예상자 물망에 오르고 있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이춘희 前 청장이 유일한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지난 선거 후 시당위원장을 맡아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부동의 시장 후보로 자리매김한 모습이다. 이 前 청장은 초대 행정도시건설청장을 지내는 등 세종시 건설에 적잖은 공헌을 한 점을 최대 강점으로 내세우고 지역 표심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이 前 청장은 지난 선거당시 함께 치러진 총선에서 같은 당 후보가 당선됐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선거에서 현직인 유 시장에게 고배를 마신 전력이 있어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세종시장 선거구도는 지역세력 VS 외부세력 대결구도로 펼쳐져 누구에게 유리한 구도일지는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