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560만 도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강력 반대, 행정수도 완성 촉구

- 세종, 대전, 충북, 충남 4개 시도지사 공동 성명… "직원들 삶 파괴하는 정책 철회하라" - 충청권 전역으로 확산되는 반대 여론 및 서명 운동 예고

2025-07-05     최형순 기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최민호 세종시장이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의 부산 이전 추진에 대한 강력한 반대 의사를 3일째 표명하며, 충청권 560만 도민의 결사반대 여론에 불을 지폈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지역 갈등을 넘어 이재명 정부의 행정수도 완성 공약 이행 의지에 대한 심각한 우려로 확산되고 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4일 해수부 정문 앞에서 직접 시위를 이어가며, 해수부의 부산 이전이 세종시의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비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국가 균형 발전을 역행하는 처사임을 강조했다.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 김영환 충청북도지사, 김태흠 충청남도지사는 4일 공동 입장문을 발표하며 해수부의 부산 이전 추진 방식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들은 이재명 정부가 행정수도 완성 공약을 조속히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며,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을 규탄했다.

현재 세종시 시민단체들을 비롯한 여러 단체들과 충청권 국민의힘 4개 시도 시당위원장 및 도민들의 거센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이들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 추진을 저지하기 위한 반대 서명 운동에 돌입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며, 전방위적인 대응을 예고했다.

이번 해수부 이전 문제는 단순히 특정 부처의 이전 문제를 넘어, 국가 균형 발전과 행정수도 완성이라는 중대한 국가적 과제와 직결되어 있다.
충청권의 결집된 목소리가 이재명 정부의 향후 정책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두 번의 이주, 직원들은 멘붕… 이산가족 될 위기"

또한 해수부 직원들은 이번 이전 추진에 대해 극심한 불안감과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2013년 부산에서 세종시로 처음 이전해 왔는데, 다시 부산으로 이전하라는 것은 부당하다"며, "지금 멘붕 상태"라고 전했다.

특히, "자녀 교육 문제와 주거 불안정은 직원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입니다. 부산으로 이전하더라도 주택을 마련하기 어렵고, 안정된 자녀 학교를 옮기는 것 또한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에 많은 직원이 주말부부가 되어 이산가족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정부의 오락가락 정책에 대한 불만"을 쏟아냈다.

■ 충청권 주민들 "일방적인 정책 강행은 생이별 조장"

세종시를 비롯한 충청권 주민들 또한 이번 해수부 이전 추진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세종시로 이전하며 정착했던 직원들이 다시 터전을 옮겨야 하는 상황에 대해 "언제는 세종시로 오라고 혜택까지 주며 보내놓고, 이제 와서 또 가라고 하니 황당할 따름"이라며 "이게 뭐 하는 거냐, 다 생이별시키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초등학생 자녀를 둔 직원들의 경우, 아이들의 전학 문제와 새로운 환경 적응에 대한 우려가 매우 큽니다. 직원들은 "초등학생 자녀들은 이미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는데, 또 다른 곳으로 전학을 가면 아이들이 적응하는 데 큰 문제가 생긴다"며, "정부가 가족들의 삶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이기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 "집값 불안정에 매매도 어려워… 어디에도 정착 못 해"

또한 세종시 주택 시장의 불안정도 문제로 지적된다. 현재 세종시는 주택 매매가 원활하지 않아 직원들이 이사를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로 인해 많은 가정이 어쩔 수 없이 떨어져 지내야 하는 주말부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하소연했다.

이번 부산 이전 추진은 "해수부 직원들의 삶과 가정을 파괴할 뿐만 아니라,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약속을 저버리는 행위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충청권 560만 도민들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 추진을 즉각 철회하고, 진정성 있는 행정수도 완성 공약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