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 강지현 교수팀, "'비만' 용어 줄이면 낙인감 줄일 수 있어"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건양대병원은 강지현 교수가 가천대길병원 김경곤 교수와 '비만'이라는 용어 사용 유무만으로도 환자들의 심리적 낙인감이 크게 달라진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국 10개 병원에서 모집한 체질량지수(BMI) 30kg/m² 이상 성인 비만 여성 321명과 ‘하이닥’에 소속된 의사 회원 171명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했다.
연구팀은 ‘비만’을 지칭하는 9개의 질병 관련 용어와 ‘비만인’을 지칭하는 14개의 환자 관련 용어에 대해, 표현의 주관적 인식도와 적절성을 5점 척도로 평가했다.
그 결과 ‘비만병’과 ‘비만병환자’라는 용어는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에게 가장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건강체중초과’, ‘체질량지수가 높은 사람’과 같은 표현은 낙인감을 줄여주는 긍정적인 용어로 꼽혔다.
강지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의료진이 무심코 사용하는 비만관련 용어와 표현이 환자에게 불필요한 낙인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한 첫 사례”라며 “용어 하나만 달라져도 환자에게는 비만에 대한 낙인감을 줄이고, 치료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개방형 질문을 통해 긍정적으로 평가된 용어를 선택한 이유를 살펴본 결과 비만 여성과 의료진 모두 ‘일반적이며 무난한 건강 관련 용어’, ‘체중 및 건강 상태 개선 가능성을 강조하는 표현’, ‘부정적인 뉘앙스를 최소화한 표현’을 주요 이유로 들었다.
반면 ‘비만병’이라는 표현은 ‘병으로 낙인찍히는 느낌이 불쾌하다’는 답변이 다수를 차지했다.
또 흥미로운 점은 비만 여성과 의료진 사이의 관점 차이다. ‘비난과 차별 최소화’를 긍정적 용어로 선택한 이유로 응답한 비율은 비만 여성이 69.5%로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의료진은 12.3%에 그쳤다. 반대로 ‘의학적이고 전문적인 표현’을 선호한 비율은 의료진이 48%로 높았고, 비만 여성은 7%에 불과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비만 관련 용어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조사한 첫 번째 연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