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숙 세종시의원, 청년 기술창업 소통데이… 현장 목소리 담아 조례 제정 추진

- 세종시의 기술창업 생태계 진단 및 정책 개선 방안 모색, 조례 제정 위한 기초자료 마련

2025-07-09     최형순 기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김효숙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의원(나성동, 더불어민주당)은 9일 세종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세종시 청년 기술창업 대표들과 함께 「기술창업 소통데이」를 개최하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하며 세종시 기술창업 지원 정책의 개선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는 관련 조례 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이날 소통데이에는 황진서 세종시 경제정책과장, 서정남 팀장, 이주영 연구원, 곽민석 세종테크노파크 팀장, 김미연 세종청년창업사관학교 센터장, 이준구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 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특히, ㈜위브렐라 이주영 대표, 앰플랩 주식회사 김진영 대표, 오가네 프로그램 오권석 대표 등 세종시 청년 기술창업 대표들이 자리를 빛냈다.

참석한 창업인들은 AI 기반 업무관리 솔루션, 환경센서 기반 스마트팜 시스템, 공공 우산 공유서비스, 유아 수면유도 콘텐츠 하드웨어, 침수방지 특수 거름망, 바이오 뷰티제품 등 다양한 혁신기술을 직접 설명하고 선보이며 세종시 기술창업의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창업 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과 개선 방안을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했다. 창업인들은 실증 테스트 공간 및 판로 확보의 어려움, 지속적인 홍보 플랫폼의 부재, 행정 부서 간 협조 부족으로 인한 사업 지연 등을 공통적으로 지적하며 세종시 창업 정책의 한계를 꼬집었다.

특히, "제품은 세종시에서 개발했지만 설치는 서울에서 먼저 이루어진다"는 지적은 참석자들의 깊은 공감을 얻었다.

한 창업인은 "자치단체의 협조 없이는 기술 기반 창업이 성장하기 어렵다"며, 창업 제품을 실제 환경에서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운영과 행정의 유연한 협조체계 마련을 강력히 요청했다.

또한, "서울에서는 담당 공무원이 현장에 나와 실험을 확인하고 도입을 결정하는 반면, 세종시에서는 공문을 보내도 반응조차 없다"며, 실행력 있는 정책 연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세종시, "성장 단계 공백 인식…협업 강화할 것"

이에 대해 황진서 세종시 경제정책과장은 "현재 다양한 창업지원사업을 운영 중이지만, 창업 이후 실증·판로 등 성장 단계에서의 공백은 존재함을 인식하고 있다"며, "각 부서 간 협업체계와 정책 피드백을 강화하여 제도 개선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주영 연구원은 세종시의 창업 지원 사업이 주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24년 11억 원 규모였던 예산이 2025년에는 8억 9,500만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 예산 중 실제 창업 기업에 직접 지원되는 규모는 약 5억 원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홍익대학교 영상계 산업지원센터와 KDB 산업은행 유치원 산업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산업 개발 및 자립을 육성하고 있다고 전했다.

세종창조경제혁신센터와 테크노파크 역시 "세종의 청년 창업인들은 초기 지원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며, 실증 공간 마련, 스타트업 제품의 전시·홍보·유통 지원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 김효숙 의원, "현장 목소리 정책에 반영…맞춤형 조례 제정" 강조

김효숙 의원은 "기술창업은 세종시 자족기능 확보와 청년 정착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이번 행사가 단순한 정책 홍보가 아닌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실질적인 과정임을 강조했다.

또한 "세종시 젊은 인재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능력 있는 창업인들로 조성되는 인프라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우리의 역할"이라고 강조하며, 단순한 창업 지원금이나 공간 지원을 넘어선 폭넓은 논의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의원은 "창업에 도전한 청년들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우리가 놓친 제도적 사각지대를 확인했다"며, "앞으로 창업 전(前)·중(中)·후(後) 단계별 맞춤형 정책과 실증 지원체계를 담은 조례 제정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혀, 세종시 기술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