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연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 해저 희토류 탐사 위해 서태평양 출항

2025-07-14     이성현 기자
태평양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의 물리탐사연구선인 '탐해3호'가 해저 희토류 탐사를 위해 서태평양으로 출항했다.

지질연은 탐해3호가 14일 오후 진해항 제2부두에서 서태평양 공해로 출항해 ‘해저 희토류 전용 탐사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탐사는 지질연이 2020년부터 쌓아온 해저 희토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을 발견하기 위한 첫 발걸음이다.

해저 희토류는 육상 희토류 대비 여러 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해저퇴적물 상부 0~10m 깊이에도 높게 분포되어 채광이 쉽고 중희토류 함량이 평균 2배 이상 높아 경제성이 높다. 또 방사성 원소 함유 비율이 낮아 해양 선광 과정에서 해수를 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도 적다.

지질연은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의 기초조사를 통해 태평양 전역 159개 해역에서 희토류 농도 분포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대양 중심부 적도 인근과 서태평양 일부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임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

이번 탐사는 과학적 기초조사로 쌓아온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지역을 대상으로 한 첫 ‘현장 정밀 탐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탐해3호는 향후 6년간 △해저코어를 통한 희토류 3차원 부존량 확인 △다학제 연구 기반 부존기작 규명 △AI 활용 자원 예측 분석, △개발 가능성 평가 등을 통해 해저 희토류 자원 확보의 전략적 기초자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김윤미 해저지질연구센터장은 “그동안 국제 해저 시추 프로젝트(IODP) 등을 통해 확보한 시료로 분석 중심의 기초연구를 해왔다면, 이번 탐사는 대한민국의 탐해3호를 직접 운용해 순수 우리 연구기술을 통해 해저 희토류 자원 분포를 3차원으로 확인·분석하는 단계로 전환되는 것”이라며 “중국과 일본이 이미 선점에 나선 상황에서, 이번 해저 희토류 탐사의 상징성과 전략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밝혔다.

권이균 원장은 “미래 산업의 전략 자원인 희토류를 서태평양 공해에서 우리의 탐사선으로 직접 찾아 나선다는 것은 새로운 대항해이자 대한민국 자원개발의 의미있는 출발”이라며 “탐해3호가 향후 우리나라의 해저 자원 연구와 공급망 안정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