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특별재난지역 지정 총력 대응, 2주 연속 비상근무 체제 유지
피해 조사·NDMS 입력 속도…읍면별 현장에 320명 투입
[충청뉴스 유규상 기자] 아산시가 집중호우 피해 복구와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위해 2주 연속 주말 비상근무 체제를 이어간다.
시는 오는 주말 공무원 320명을 추가 투입해 피해 조사와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입력 작업에 행정력을 집중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22일 충남 서산·예산, 경기 가평, 전남 담양, 경남 산청·합천 등 피해가 큰 6개 시군을 1차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 바 있다. 각 지자체의 조사와 중앙합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 특별재난지역을 발표할 예정이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세금 납부 유예, 공공요금 감면, 생계비 및 주택복구비 지원 등 주민 지원이 가능해 지고, 국비 지원을 통해 복구 재정을 확보할 수 있다.
특별재난지역에 지정되려면 NDMS에 입력된 피해액이 국고지원 기준의 2.5배를 초과해야 하는데 아산시는 24일 오후 5시 기준 피해 규모 요건을 이미 충족한 상태다. 피해 건수는 3,532건으로, 읍면동별 조사가 마무리되면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시는 자연재난 발생 후 7일 이내 공공시설, 10일 이내 사유재산 피해 조사를 마쳐야 하는 규정에 따라 본청 토목직 공무원 12명, 아산시 측량협의회 자원봉사자 10명, 설계 용역사 인력 10명 등이 포함된 ‘공공시설 피해 조사 지원 TF팀’도 가동하여 주말동안에는 320명의 공직자와 함께 피해가 큰 염치읍, 배방읍, 송악면, 음봉면, 인주면, 도고면, 신창면, 온양6동 등에 집중 배치돼 조사를 진행한다.
오세현 시장은 “피해조사 누락이 없도록 철저히 대응해 아산시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시민 일상이 하루빨리 안정될 수 있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