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사무총장, "국회 직원이 세종시로… 방법 강구"
세종시 공무원 잦은 출장 업무 비효율 극복 대안 밝혀
정진석 사무총장은 12일 ‘국회의 세종시 활성화 방안’과 관련, “국회 직원들이 세종시에 내려가 각 부처 결산을 하는 방법 등을 강구 중”이라면서 “이럴 경우 세종시 공무원들이 굳이 국회에 오지 않아도 입법부와 정부간 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정 총장은 이날 오후 티비조선 신율의 ‘시사열차’에 출연, 세종시 공무원들의 잦은 국회 출장으로 인한 업무 비효율에 대한 질문을 받고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입법부와 행정부가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국회 소속 상임위 수석 전문위원, 전문위원 입법조사처 및 예산정책처 직원들이 세종시 각 부처를 방문해 예산안 결산을 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밝혔다.
정 총장은 ‘세종시 분원’ 설치 등과 관련, “세종시 분원 설치는 국회법을 개정하는 문제로 여야간 협의에 따라 국회의원들이 결정할 문제”라면서 “여야간 논의가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 정무수석을 역임한 정 총장은 ‘청와대 정무수석의 자질’에 대한 질문에 대해 “정무수석은 공정한 눈으로 여론을 살펴야 하며, 날 것 냄새가 나는 여론을 정확하게 대통령께 전달해 대통령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드려야 한다”면서 “중립적인 입장을 견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정 총장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자치단체장 폐지 문제 등과 관련, “여야가 지난 대선때 공약으로 내건 사안으로 알고 있다. 여야가 지방공천 폐지 문제 등에 대해 논의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여기엔 장단점이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해 정당의 예속을 벗어난다는 의미도 있으나 책임정치라는 측면에서 보면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도 있다는 이야기”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결국 여야가 정개특위에서 논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총장은 ‘안철수 신당, 충청권 신당 창당 등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서 “충청권은 여러차례 충청권 정당을 경험한 바 있고 유권자들이 충청정당이 있을때와 없을때에 대해 차이를 느끼고 있을 것”이라면서 “그러나 지금은 정계개편 시기도 아니고 충청권 신당론에 대해선 들은 바가 없다”고 견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