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 '화학연이 실현하는 울산의 꿈' 기술협력사례 발간

2025-08-11     이성현 기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화학연구원이 ‘울산시-화학연 기술협력사업’의 우수 지원성과 사례집 '화학연이 실현하는 울산의 꿈'을 발간했다.

이번 사례집은 우수기업의 사업화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 신규 지원이 필요한 잠재적 수요기업에게 기술혁신 성공 모델을 제시하고자 제작됐다. 최근 사업화 성공 6건 등 우수 지원 사례 9건이 담겨 있다.

대표적 성공사례로 복합비료 제조회사인 ㈜조비는 2021년도 사업에 참여해 기존 석유계 난분해성 피복비료를 대체하는 생분해성 바이오 우레탄 피복비료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생분해 고분자를 연구하던 화학연 김효정 박사에게 비료는 낯선 조합이었다. 하지만 ㈜조비가 친환경 완효성 피복비료 개발을 타진하자 기술·시장 동향 조사부터 제품 용도와 특성에 맞는 개발 목표 수립까지 ‘기업 눈높이’에 맞추고 아이를 기르는 입장에서 더 열성적으로 연구해 개발을 성공시켰다.

완효성 피복비료는 표면을 특수 물질로 코팅해 비료가 나오는 속도가 조절되므로 약효가 오래 유지된다. 기존에는 코팅 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같이 석유계 난분해성 수지를 활용했으나, 피복 물질이 미세플라스틱 형태로 토양에 잔류하여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었다.

㈜조비는 식물유 유래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해 토양 중 생분해되는 바이오 우레탄 피복기술 개발에 성공했고, 100억원 이상을 투입하여 신규 제조 설비를 구축했다. 바이오 우레탄 피복비료 출시로 2023년 이후 매출 기여액 109억원이 발생했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제품 개량을 통해 매출액을 늘려갈 전망이다.

도료 첨가제와 합성수지 제조회사인 케이에스케미칼㈜은 2022년도 사업에 참여하여 선박 도료용 고기능성 소포제 개발에 성공했다.

케이에스케미칼과 함께 연구에 나선 화학연 유영창 박사는 독일·일본 등의 특허를 회피하기 위해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 기존 논문들의 한계점에서 단서를 파악하는 역발상으로 접근했다. 그 과정에서 불소-실리콘 물성의 밸런스를 최적화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갈 수 밖에 없었지만 기업과 즉각적인 소통을 통해 수입에 의존하던 선박용 도료 소포제 시장에서 국산화를 이뤄냈다.

작년 사업화 이후 현재까지 3.5억원의 매출을 달성했고 도료용 첨가제 소재 시장을 국산화하여 향후 3년간 45억원의 매출 증가가 기대되고 있다.

이영국 원장은 “울산화학산업이 스페셜티 화학제품에 대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도록 울산시와 협력을 통해 지원을 계속 이어 나가겠다”며 “이번 사례집이 지원이 필요한 지역기업에 성공 모델로 인식될 수 있도록 많은 홍보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화학연은 사례집에 참여한 우수기업 관계자를 중심으로 오는 8월 21일(목), 롯데호텔울산 오닉스홀에서 간담회를 열고 ‘울산시 - 화학연 기술협력사업’의 개선방향 등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