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대 'R&D 예산' 두고 대전 정가 충돌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이재명 정부가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에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천억 원을 편성하기로 한 것을 두고 대전지역 여야 정치권이 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과학기술인에 대한 국가적 신뢰 회복이자 대한민국이 기술 패권 경쟁을 선도하겠다는 의지의 선언이라고 환영한 반면 국민의힘은 대전시당은 민주당이 책임은 외면하고 생색만 내고 있다고 일침을 가했다.
민주당 대전시당은 25일 논평을 내어 "2026년도 R&D 예산은 단순한 복원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향한 담대한 투자이자 연구 생태계 회복을 알리는 역사적 전환점"이라며 "위축되었던 연구 현장에 새 활력을 불어넣고, AI·에너지 등 미래 전략 분야에서 세계 주도권을 확보할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높이 평가했다.
또 "대한민국 R&D의 중심지인 대전과 대덕연구단지 연구 현장에서는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면서 "역대 최대 규모의 R&D 예산이 현장의 목소리와 긴밀히 호흡하며 실질적 성과로 이어져, 국가 성장과 국민의 삶을 바꾸는 희망의 씨앗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소망했다.
국민의힘의 반응은 싸늘했다. 7석을 쥔 여당이 책임을 방기한 채 생색내기에만 몰두한다는 촌평을 내놨다.
국민의힘 대전시당은 김태윤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민주당은 R&D 예산 확대를 두고 스스로 성과를 과시하며 자화자찬에 몰두하고 있다"며 "그러나 정작 대전을 둘러싼 중차대한 현안들 앞에서는 늘 침묵하거나 뒤로 물러서는 모습을 반복해왔다"고 비판했다.
이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결정되던 순간, 대전의 민주당 의원 일곱 명은 어디에 있었고,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예타 철회 과정에서도 해법은 내놓지 못한 채, 사후에 비난의 목소리만 높였다"면서 "힘을 발휘해야 할 결정적 시기에는 자취를 감추고, 사태가 지나간 뒤에는 책임을 회피한 채 비난만 쏟아내는 것이 바로 민주당의 민낯"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예타 철회는 좌초가 아니라 보완 후 재신청 과정인데 지금 필요한 것은 정치적 선동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행동"이라며 "그러나 민주당은 지역의 어려움 앞에서 뛰는 대신, 실패를 즐기며 정치적 공격의 자산으로 삼고 있다. 대전 시민은 더 이상 민주당의 침묵과 무능, 그리고 뻔뻔한 생색내기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