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국립공주대-충남대 통합 추진’에 대해 묻습니다
김정섭 전 공주시장 기고문
국립공주대학교와 충남대학교가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어느 날 갑자기 보도가 나와서 시민들이 많이 놀라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대학교간 통합이라는 큰 사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나오지 않아 답답한 상황입니다. 예상되는 피해 때문에 ’절대 반대’라는 시민들의 반응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선 공주대측의 납득할 만한 설명이 있어야 하겠습니다.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글로컬대학 3.0’ 사업에 선정되기 위함이라고 하는데, 거기에 대학간 통합이 필수사항인지, 어떤 내용과 방향으로 통합을 추진하며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시민들에게 밝혀주기 바랍니다.
수도권 바깥의 지방대학들이 어렵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 벚꽃 피는 순서대로, 즉 수도권에서 먼 지방 대학부터 차례로 사라질 것이라는 괴담이 조만간 현실화할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 공주대학교도 살아남기 위해, 더 강해지기 위해 크게 혁신하겠다는데 공감하지 않는 공주시민은 없을 것입니다. 시.도를 뛰어넘어 충청남도에 있는 국립공주대학교와 대전광역시에 있는 충남대학교를 합치면, 전국에서 가장 큰 대학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더라도 밀실에서 추진하는 것은 안 됩니다. 국립공주대학교는 이른바 4대 학내구성원(교원, 직원, 학생, 조교)만의 것이 아닙니다. 또한 ‘지(지자체)-산(산업체)-학(대학)-연(연구기관) 연계’가 교육부가 바라는 대학혁신사업의 주요 목표라고 하는데, 지역(지자체 및 시민)이 동의하지 않는 대학간 통합이 실현될 수 있을까요?
공주대의 신분 변경은 공주시민에게 너무나 중요한 문제입니다. 예전의 경험 때문입니다. 시민들이 걱정하는 것은 크게 몇 가지로 모아집니다. 충남대와 통합할 경우, 공주대의 정체성이 사라지고 규모가 축소할 것이고, 그것은 곧 지역경제에 악영향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통합에 따른 교명 변경, 대학본부 이전, 학과 통폐합 등, 대도시에 소재하고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충남대학교 중심의 통합대학이 되지 않겠느냐는 것입니다.
이 당연한 의문에 대해서 공주대는 답해야 합니다. 공주시민의 입장에서 충분히 연구하고 고려한 것인가, 공주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와는 어떤 협의를 거쳤나, 하는 질문입니다.
시민들의 대표인 시청과 시의회가 나서주기를 바랍니다. ‘이른바 지역소멸보다 먼저 대학소멸이 올 수도 있다’는 공주대측의 고뇌를 이해합니다. 하지만 충남대와의 통합만이 유일한 방법일까 하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공주대-충남대 통합 추진의 필요성에 대해 어떤 협의, 소통 노력을 했는지 궁금합니다.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책임져가야 할 질문입니다.
공주시는 5년 전부터 국립공주대학교 학생들에게 매월 7만 원, 1년에 84만 원씩의 장학금을 지역화폐(공주페이)로 주고 있습니다. 공주시로 주소를 옮긴 모든 학생들이 대상입니다. 2021년부터 공주대 내 국민체육센터(수영장)를 리모델링하는 데 시비 17억 원을 지원했고, 교내 둘레길과 야외화장실 조성도 지원했습니다. 5년이 넘게 이어진 ‘공주대 총장 부재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그리고 의과대학 설립을 성사시키기 위해 함께 뛰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대학 소멸의 위기도 함께 풀어나가야 합니다.
공주대와 공주시, 공주시의회는 국립공주대-충남대 통합에 대해 이제라도 충분히 대화.협의하기 바라고 시민들에게 입장을 밝혀주기 바랍니다.
시민들은 불안합니다. 10여 년 전 세종시 분리 출범 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서 입은 피해와 수모가 지금껏 시민의 마음에 깊이 아로새겨져 있습니다. 시민의 입장에서 촉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