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 경찰, 올해 노쇼 사기 검거 '0'"
민주 박정현 의원 "1월 부터 7월까지 노쇼 전국 2892건 발생"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올해에만 수천 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지만, 검거율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쇼 사기는 심각한 불경기로 신음하는 소상공인의 등골을 휘게 하는 만큼, 검거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시도경찰청별 노쇼사기 현황’에 따르면, 2025 년 1월부터 7월까지 총 2,892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다.
노쇼 사기로 인한 피해액은 414 억 원에 달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피해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 7개월간 가장 많은 노쇼 사기가 발생한 곳은 경기도였다. 경기도는 7개월간 총 577 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으며 , 79 억 원의 피해액이 발생했다. 그러나 검거 건수는 2건에 불과했다.
이어 ▲경북(284건, 38억 원) ▲서울(281건, 33억 원) ▲전북 (215건, 35억 원) 순으로 발생 건수와 피해액이 집계되었다.
노쇼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 발생 건수 대비 검거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총 2,892건의 발생 건수 중 검거된 건수는 22건으로 전체 0.7%에 불과했다.
특히 서울, 부산, 인천, 울산, 세종, 경기 북부, 충남, 경북, 제주에서는 단 한 건도 검거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노쇼 사기 범죄의 검거율이 낮은 이유를 사기가 전화나 메신저로 이뤄지고, 위조 명함이나 신분증 등으로 신분 확인이 어렵다는 점을 꼽고 있다.
박정현 의원은 “노쇼 사기는 이름 있는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으로 속이면서, 높은 매출을 약속하는 형태로 소상공인이 혹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이뤄지는 악질 사기”라고 지적했다.
이어 “발생 건수 대비 검거율이 0.7%에 불과해 문제이기도 하지만, 서민을 울리는 악질 범죄의 뿌리를 뽑기 위해서 경찰이 더 성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