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통합, 미래위해 불가피"... 김태흠의 진심
金, "자리 내려놔야 하면 지역위해 내려놓을 수 있다" 굳은 의지 피력 정치적 목적 논란에 “통합되면 둘 중 하나 그만둬야…진정성 믿어달라”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가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과정에서 “(지사직을) 그만둬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그만둘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충청 발전을 위해 정치적 이해관계보다 지역의 미래를 우선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김 지사는 15일 KBS대전 생생뉴스 인터뷰에서 "행정통합은 정치적 목적이 아닌 충남과 대전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먼저 그는 "최근 여론조사 결과 약 65%의 시·도민들이 찬성을 했다"며 "조선시대 교통이 불편하고 행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8도 밖에 없었는데 행정도 디지털화 됐고 교통도 편리한데 17개 시·도가 잘게 쪼개서 가는 부분은 개편이 이뤄져야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257개 특례 조항과 9조 원 규모의 국세 이양을 담은 특별법안이 시·도의회 의결을 마치고 국회 발의만 남았다"며 "다음 주 정도면 법안 발의가 되리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현 정부와의 협의와 관련해서는 “행안부, 기재부 등 중앙 부처도 추진단을 출범시켜 돕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며 "이재명 정부가 내세운 ‘5극 3특 체제’는 제가 주장해온 권역별 행정통합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정치적 목적 논란에 대해서도 정면 반박했다.
김 지사는 "민주당이나 일부 시민단체로 가장한 분들이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서 한다고 얘기하고 있다"면서 "통합이 된다면 둘중에 하나는 그만 둬야하는 상황인데 무슨 정치적 목적이 있냐"고 반문했다.
이어 지사직을 내려놓고라도 추진할 진정성이 있냐는 질문에 "당연하다. (남은 임기가) 일 년도 채 안 남았는데 다른 마음을 갖고 할 수 있겠냐"며 "순수성을 받아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전국을 5~6개 광역권으로 나눠야 지방 분권과 지역 인구 소멸, 수도권 1극 체제에서 벗어나 발전을 이룰 수 있다"면서 행정통합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한편 김 지사는 2차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아쉬움도 토로했다.
그는 "대통령을 독대를 한다든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권유해서 충남하고 대전이라도 먼저 공공기관 이전을 하고 재검토가 필요하면 하라고 주장하면서 진행을 하고 있었는데 비상계엄으로 실행이 못 됐다"고 전했다.
이어 "2020년도 10월에 충남 혁신도시가 지정됐지만 5년이 지난 현재까지 공공기관 이전이 한 군데도 없다"며 "전국 각 시도는 이미 공공기관이 이전 됐고 충남은 제로인 상태에서 드래프트제처럼 한국환경공단, 환경산업기술원, 한국난방공사 같은 환경 분야와 문화관광 분야 공공기관들을 먼저 배정 해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