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지사 "당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에 총력"

16일 시군 방문 네 번째 일정으로 당진 방문 당진시와 TF팀 구성..."지역 국회의원도 제 역할 해야" "대전·충남 통합하면 베이밸리 탄력받는다"

2025-09-16     박영환 기자

[충청뉴스 박영환 기자]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16일 "당진이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에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태흠 지사는 이날 민선 8기 4년 차 시군 방문 네 번째 일정으로 당진시를 찾아 언론인 간담회를 갖고 주요 현안과 관련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먼저 김 지사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해 당진시와 TF 팀을 구성하고 있다"며 "국가가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 논리와 자료는 도가 열심히 해야 되고 국회의원들도 반드시 그 역할을 하고 힘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가 국회의원할 때는 시·군이 필요한 부분은 거의 다 해줬다"며 "국회의원들이 직접 가서 장관들 좀 만나고 강하게 요구할 건 요구하고 이런 측면에서 함께 노력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대전·충남 행정통합이 베이밸리 메가시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김 지사는 “행정통합이 이뤄지면 베이밸리 메가시티 구성에도 탄력을 받는다”며 "논산·계룡·금산은 대전과 행정이 분리가 돼 있기 때문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불편한 점이 있다. 그런 부분들이 해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전권과 천안·아산·당진·서산·예산 일부를 포함하는 서북부권, 내포를 중심으로 한 서남부권, 세 축으로 발전해야 된다”며 “서북부권을 합치면 오히려 대전보다 크고 인구나 산업적인 부분에서 더 젊고 역동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행정통합을 주장하면서 왜 내포를 키우고 정주여건을 더 늘리려고 하느냐’고 하는데 한 축이 돼야 하기 때문”이라며 "베이밸리에 다양한 부분을 집어넣으려면 인력과 기술이 필요한데 타 시도보다 먼저 공급받을 수 있고 견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베이벨리 한 거 없다'고 하는데 이건 2040년이 중장기적인 부분"이라며 "충남에서 서부권을 어떻게 키워나갈까 하는 아이디어 하나 낸 것만 하더라도 진전된 발전"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끝으로 김 지사는 "당진은 앞으로 떠오르는 곳"이라며 "오성환 시장께서 오랫동안 공무원도 했고 경제 분야를 많이 했기 때문에 방향을 잘 알고 또 추진력도 강하기 때문에 도에서 뒷받침을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