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미이전 중앙행정기관 추가 이전 등 현안 해결 위한 노력 지속

2025-09-16     최형순 기자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세종특별자치시가 "수도권에 남아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추가 이전과 국회 세종의사당의 완전 이전 추진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정부의 긍정적인 답변을 받으며 관련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브리핑

이용일 세종시기획조정실장은 16일 기자실을 방문해 "대통령 주재 시·도지사간담회(8.1.)에서 건의했던 사안에 대한 정부 회신 결과"를 발표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간담회를 통해 ▲미이전 중앙행정기관 추가 이전 및 종합대책 마련과 세종집무실, 세종의사당 완전 이전 규모로 임기 내 건립 등 두 가지 핵심 사안을 건의했다.

▲미이전 중앙행정기관 추가 이전 및 종합대책 마련 - 국토교통부는 "김승원 의원이 발의한 '행복도시법' 개정안(25.2.)이 국회에서 검토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개정안은 여성가족부, 법무부 등 일부 기관을 세종시 이전 대상에서 제외하는 조항을 삭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실장은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성평등가족부, 법무부, 방송통신미디어통신위원회, 금융감독위원회 등 수도권 소재 기관의 세종시 이전을 지속적으로 건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세종집무실, 세종의사당 완전 이전 규모로 임기 내 건립 - "행복도시건설청은 현재 일부 규모로 건립 중인 세종집무실과 의사당에 대해, 향후 완전 이전이 결정되면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최종 건립 방식을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세종시는 중앙행정기관의 이전과 존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범정부적이고 초당적인 협력을 요청할 방침이다.

특히, "정부와 국회, 여야 핵심 인사, 지역구 국회의원 등과의 면담을 추진(9.24.)하여 이전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우호적 여론 및 시민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예정이다.

이용일 실장은 "정부조직 개편으로 인해 기획예산처, 재정경제부, 기후환경에너지부 등 세종시에 이미 위치한 부처들이 분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께서 '해수부 외 다른 부처의 분산 이전은 없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며 "행정 효율성을 고려할 때, 세종시 소재 개편 대상 조직들은 세종시에 존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시는 "앞으로도 미이전 기관의 추가 이전 및 국회 세종의사당의 완전 이전을 목표로 정부 및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