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술교육대, ‘2025년 상반기 현장실습 우수기업 및 우수학생 시상식’

유길상 총장 “나에게 IPP란?” 즉석 퀴즈 호응

2025-09-24     유규상 기자

[충청뉴스 유규상 기자] “저희 기업은 지역 특성상 청년들이 잘 찾아오지 않는데,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기업연계 장기현장실습)을 통해 한국기술교육대의 우수 학생들이 6개월간 교육과 실습 과정을 거치며 회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취업까지 이어짐에 따라 회사와 학생 모두가 윈윈하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채용인력은 신입사원 연수 없이 바로 실무에 투입되었습니다.”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트랜스테크 나종호 대표의 말이다. 화물자동차와 특수목적용 자동차 및 부품 제조업체인 이곳은 매년 한국기술교육대 학생을 IPP실습생으로 받고 있으며, 최근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출신 학생 2명을 직원으로 채용했다.

마스크팩, 기초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연간 매출액 470억원 규모의 중견기업 ㈜에스디생명공학도 매년 한국기술교육대 IPP 프로그램에 참여, 학생을 실습시킨 후 채용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정필 인사총무팀장은 “한국기술교육대 학생들은 타 대학 학생들과 비교할 때 업무수행 능력과 인성이 매우 좋아서 기업에서 항상 실습 후 채용을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채용연계형 IPP 학생을 지속적으로 받을 계획”이라고 말한다.

한국기술교육대(KOREATECH)는 9월 24일(수) 오후 교내 다산정보관 대강당에서‘2025년 상반기 현장실습 우수기업 및 우수학생 시상식’을 열어, ㈜트렌스테크, ㈜에스디생명공학 외에 ㈜자비스, ㈜리빈에이아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린치핀에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총 7곳 우수기업이 이날 유길상 총장과 간담회와 시상식을 가졌다.

2차전지 제조장비 생산기업인 ㈜자비스는 올해 1학기에 5명의 IPP 학생이 실습에 참여했는데, 기업은 학생들의 실습 성과에 만족해 하고 있다.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사 ㈜리빈에이아이는 장·단기 현장실습에 모두 참여해 데이터베이스, API 개발 직무수행 학생들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2012년부터 한국기술교육대 IPP에 참여해 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매 학기 6명 이상의 실습생을 선발하고 있다.

유길상 총장은 “우리대학이 2012년 국내 최초로 도입한 장기현장실습제(IPP)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무형 인재양성 모델로 자리매김했으며, 중소중견기업의 효과적인 인력채용 제도로 각광받고 있다”면서 “IPP에 참여해주신 전국의 모든 기업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와 단기 등 매년 700명이 넘는 학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이론과 실무를 접목하는 소중한 기회를 얻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현장중심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성장하는 산학 상생 모델을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수기 공모전을 통해 선정된 총 18명의 현장실습 우수학생이 상을 받았다. 장기현장실습(IPP) 분야에서는 ㈜보쉬전장에서 실습한 산업경영학부 4학년 이경준 학생이 최우수상을, 삼성전기(주)에서 실습한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김현수 학생 등 12명이 우수상을 받았다.

이경준 학생은“HR 실무를 경험하며 실제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라며 “회사에서‘가장 책임을 다한 인턴’이라는 평가를 받아 소중한 추억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단기 현장실습 분야에서는 하계방학 때 삼성전자서비스에서 8주간 실습한 전기·전자·통신공학부 4학년 김시원 학생이 최우수상을, ㈜제이에스테크서 실습한 메카트로닉스공학부 권동우 학생 등 4명이 우수상과 장려상을 받았다.

시상식 직후 유길상 총장은 ‘26학년도 장·단기 현장실습 제도 설명회’에 참여하기 위해 강당을 가득 메운 학생들 대상으로 즉석 퀴즈를 냈다. “나에게 IPP란?”이란 질문에 학생들은 “스펙, 성장의 밑거름, 예방 접종이요”등이라고 답했고, “나에게 한국기술교육대학교란”질문에 “희망, 경험이요”등으로 화답해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한국기술교육대는 2012년 한국형 코업(Co-op, 산학협동교육)인 IPP를 국내 대학 최초로 설계해 운영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4~6개월간 대학과 협약을 맺은 기업체에 나가 실습하는 IPP에 451명이 참여해 868명 졸업자 중 절반 이상이 IPP에 참여하고 있으며, 3~4학년 재학생 대비 장기현장실습 참여 학생 비율은 국내 대학 중 단연 최고다.

한국기술교육대는 중앙일보 이공계 공학계열 대학평가(62개 대학 참여)에서 ‘24년 현장실습 참여 비율 1위를 기록했으며, IPP 참여 학생의 취업률은 미참여 학생보다 7.5%p 높은 84.2%의 취업률(대학정보공시 기준)로 탁월한 취업역량을 입증했다. 한국기술교육대는 2023년 졸업생 취업률 80.1%로 졸업생 500명 이상 4년제 대학 기준 전국 3위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