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암세포 세포핵 비대 현상의 원인과 의미 규명
2025-09-26 이성현 기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 핵 비대현상의 원인과 의미를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의과학대학원 김준 교수 연구팀이 김지훈 교수·김유미 교수 연구팀과 암세포에서 핵이 커지는 분자적 이유를 알아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암세포에 흔한 DNA 복제 스트레스가 핵 속 ‘액틴’ 단백질을 뭉치게 만들고 이것이 핵을 크게 만드는 직접 원인임을 확인했다.
이번 결과는 암세포 핵 크기의 변화가 단순히 ‘암세포가 이득을 보기 위해 진화한 형질’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오히려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임시방편적 반응이며 암세포의 전이 가능성에는 제약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설명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핵 크기 변화가 암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는지 또는 전이 억제와 관련된 단서가 될 수 있는지 탐구할 필요가 있다. 즉, 핵 비대는 복제 스트레스에 대한 일시적 반응일 수 있으며, 반드시 암의 악성화를 뜻한다고만 볼 수는 없다는 뜻이다.
이 결론은 △유전자 기능 스크리닝 △전사체 분석 △3차원 유전체 구조 분석(Hi-C)으로 핵 비대가 단순한 크기 변화가 아니라 DNA의 접힘과 유전자 배치 변화와 연결돼 있음을 규명하고 생쥐 이식 모델을 통해 입증했다.
김준 교수는 “DNA 복제 스트레스가 핵 크기 균형을 무너뜨린다는 사실을 확인해, 오래된 병리 관찰의 배경 기전을 설명했다”며 “앞으로 암 진단과 전이 예측에 핵의 구조 변화를 새로운 지표로 활용할 가능성이 열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