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등교 가설교 '중고 복공판' 논란...국토부, 긴급 점검 착수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지난해 7월 폭우로 주저앉아 철거된 대전 유등교의 임시 가설교 공사현장에서 비KS 중고 복공판이 사용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대전시는 "안전상 문제는 전혀 없다"고 즉각 반박했으나, 국토교통부는 현장에 대한 긴급 점검을 진행하기로 했다. 국토부의 점검을 통해 품질과 안전성 논란이 해소될지 주목된다.
앞서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동구)은 지난 11일 대전시가 가설교에 한국산업표준(KS) 기준에 맞지 않는 중고 복공판을 사용하고, 위험성에 대한 평가나 피로도 시험도 거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장 의원은 "대전시가 특정공법을 이유로 공사를 지연시키더니, 정작 중고 자재 사용은 방치했다"며 "시민 안전보다 행정 편의를 우선한 전형적인 부실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가설교 전 구간에 대한 정밀 안전진단과 자재 반입 과정에 대한 감사 실시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전시 박제화 건설관리본부장과 김종명 철도건설국장은 1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설계 단계부터 중고 복공판 사용을 전제로 안전 기준에 따라 시공했으며, 품질시험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짧았던 공사 기간 제약과 공사비, 자재 수급 여건을 고려해 중고 복공판을 사용했지만 안전상엔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시는 "국토교통부의 가설공사 일반사항 등에 따르면 비KS 제품도 품질시험에서 적합 판정을 받으면 사용이 가능하다"며 "총 3300매의 복공판 가운데 17개 품질시험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안전성 우려에 대해서는 "개통 전 건설사업관리 용역을 통해 안전점검을 완료했고, 현재도 24시간 원격계측 시스템으로 상시 관리 중"이라며 "앞으로도 매년 품질시험과 안전점검을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논란은 결국 이날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올랐다. 국토교통부는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을 통해 해당 현장에 대한 긴급점검에 착수하기로 했다. 유등교 소재지인 대전 중구 박용갑 민주당 의원(국토교통위)과 장철민 의원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국토부는 이번 점검을 통해 유등교 가설교의 구조적 안전성은 물론 공사 과정에서 자재 품질검사와 승인 절차가 국토부 규정에 따라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국토교통부 가설공사 일반사항과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명시된 사전 안전점검 절차가 제대로 작동했는지도 살펴볼 계획이다.
장철민 의원은 이날 국정감사에서 유등교 가설교에 비KS 중고 복공판이 사용됐고, 자재 반입 전에 이뤄졌어야 할 품질검사 역시 시공이 사실상 마무리된 시점에서야 의뢰됐다는 점을 밝혔다.
장철민 의원은 “시민의 안전보다 행정 편의가 우선된 결과가 드러났다”며 “국토부의 점검이 형식에 그치지 않고, 책임 소재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갑 의원도 “유등교는 대전 시민의 일상과 직결된 시설”이라며 “국토위 차원에서도 이번 사안을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제도 개선까지 이어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