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579돌 한글날 기념 '온 세종에 한글' 행사 성황
-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세종 한글 술술축제', '한글런' 등 10여 종 행사, - 한글 상품 박람회 8,600여만 원 매출 기록... 한글문화 산업화 가능성 입증 - 최민호 시장, "세계를 잇는 '한글문화도시, 세종' 본격 도약, 지역문화 정체성 굳건히 할 것"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가 한글문화도시로서 맞이하는 제579돌 한글날을 기념해 개최한 10여 종의 ‘온 세종에 한글’ 행사가 시 전역에 한글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확산하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행사는 한글의 가치를 조명하는 전시와 학술, 시민이 참여하는 축제와 마라톤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시민과 방문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 42일간 5만 3천여 명 방문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한글 술술축제'
먼저, 지난 42일간 5만 3,000여 명이 다녀간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와 ‘2025 한글문화특별기획전’은 수준 높은 한글 작품에 대한 관람객들의 호평 속 지난 12일 마무리되며 한글의 예술적 가치를 세계에 알렸다.
또 지난달 13일 열린 ‘2025 세종 한글 술술축제’는 방문객 3,700여 명을 기록했으며, 먹거리·양조 참여 부스 매출은 총 3,200여만 원을 달성했다.
한글과 지역 양조 문화를 융합해 세종시만의 특색을 살린 시민 참여형 행사이자, 지역경제 활성화와 기업 성장 기반 마련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 1만 5천 명 참여 '한글런', 한글문화 산업화 가능성 알린 '한글 상품 박람회'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2025 한글런’은 1만 5,000여 명이 참여해 한글날(10.9㎞)과 세종대왕 나신 날(5.15㎞)을 상징하는 코스를 달리며 한글 창제의 기쁨을 나누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
‘KBS 전국노래자랑 한글문화도시 세종시편’은 지난 11일 관람객 1만여 명의 뜨거운 성원 속에 녹화를 마쳤으며,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제1회 한글 상품 박람회 한글로 흥하다’는 큰 주목을 받았다.
교보문고, 한글과자 등 유명 기업과 지역기업 여민향, 선다움 등 다양한 한글 관련 기업이 참여한 이 박람회는 30여 개의 부스가 행사 3일간 총 8,600여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한글문화 산업화의 가능성을 세계에 알렸다.
■ 한글의 가치 일깨운 학술 강연과 어린이 한글대왕 선발대회
한글날 오후에는 나성동 한글상점에서 ‘2025 세종시-한글학회 공동 주최 강연회’가 진행되어 김주원 한글학회장이 ‘한말글 산업의 뿌리, 조선어학회 사전의 역사’를 주제로 강연을 펼치며 한글사랑의 가치와 본질을 일깨웠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2025 전국 어린이 한글대왕 선발대회’에서는 공세완(소담초·6학년) 학생이 어린이한글대왕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한류에 부응해 한글을 주제로 새로운 문화행사를 만든 ‘2025 세종한글축제’와 연계 행사로 열린 ‘제2회 세종한글대전’과 ‘외국인 한국어 말하기 대회’는 관내 외국인의 지역문화 참여를 독려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호평을 받았다.
최민호 시장은 “올해 한글날은 세계를 잇는 ‘한글문화도시, 세종’이 본격 도약하는 첫 해였다”며 “앞으로도 세종대왕의 얼을 계승한 도시로서 지역문화 정체성을 굳건히 확립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