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학교급식 잔식 기부, 시민 99% 찬성…김현옥 세종시의원
– 세종환경교육한마당 설문, 시민 200명 중 99% "잔식 기부 찬성" – 연간 3,200톤 음식물 쓰레기 감축 및 이웃 나눔 기대 – 새롬고 '세바두' 학생들, "조리된 밥·국·반찬도 기부 가능하도록 조례 개정 시급" – 경기도, 이미 180개 학교에서 잔식 기부 실천하며 효과 입증
[충청뉴스 최형순 기자] 세종특별자치시 학교급식에서 버려지는 잔반을 이웃에게 기부하는 '잔식(예비식) 기부'에 대해 세종 시민 10명 중 9명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조례 개정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 김현옥 의원(새롬동,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8일 '세종환경교육한마당'에서 새롬고 환경동아리 '세바두(세상을 바꾸는 두드림)' 학생들과 함께 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잔식 기부 인식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잔식 기부에 찬성한다'고 응답한 시민은 99%(198명)에 달했으며, 반대 의견은 단 1%에 불과했다. 잔식이라는 용어 인지도는 44%에 그쳤으나, 제도의 취지를 설명하자 압도적인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다.
■ 연간 3,200톤 잔반, '잔식'은 한 그릇도 기부 못하는 현실
세종시청 자원순환과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세종시 유치원부터 대학교까지 111곳 학교에서 발생하는 급식 잔반은 연간 약 3,220톤(3,220,462kg)에 달한다. 학교 한 곳당 평균 29톤이 버려지는 셈이다.
문제는 조리 후 배식되지 않고 남는 '예비식(잔식)'까지 모두 음식물 쓰레기로 처리되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세종시 관련 조례는 '포장된 완제품만 기부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학교에서 정성껏 조리한 밥, 국, 반찬은 단 한 그릇도 이웃에게 기부되지 못하고 있다.
■ 김현옥 의원-새롬고 학생들, "탄소중립·나눔 실천 위해 조례 개정 시급"
김현옥 의원은 "학교에서 남는 예비식(잔식)은 버려지는 음식물이 아니라 이웃과 나눌 수 있는 소중한 자원"이라며 "실제 기부가 가능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경기도는 2022년 수원 효원고를 시작으로 현재 180개 이상 학교에서 예비식을 복지시설에 기부하며, 시행 첫해에 음식물 쓰레기와 처리비용을 약 40% 절감하는 등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에 김 의원과 새롬고 '세바두' 동아리는 세종시 역시 ▲조례 개정 ▲시범학교 운영 ▲푸드뱅크 연계를 통해 잔식 기부를 실현해야 한다며 세종시교육청과 협의를 진행 중이다.
김현옥 의원은 "세종의 학생들이 먼저 행동하고 시민 99%가 공감했다. 이제 행정과 의회가 응답할 차례"라며, "급식 잔식 기부는 탄소중립 실천은 물론 환경 교육과 맞닿아 있는 만큼, 쓰레기통이 아닌 이웃의 식탁으로 갈 수 있도록 조례를 현실에 맞게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새롬고 '세바두' 동아리는 앞으로 잔식 기부 조례 개정 서명운동, 학교별 시범 운영 제안, 교육청-푸드뱅크 연계 협의 등을 이어가며 잔식 기부 제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