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 메모리 분야 국가전략 기술정책 토론회 개최

2025-11-05     이성현 기자
AI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AI 메모리 분야 국가전략프로젝트 기술·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초거대 AI 모델 확산으로 급증하는 메모리 수요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속에서, 정부·산업계·학계가 함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방승찬 원장을 비롯해 한성수 ICT전략연구소장, SK하이닉스·삼성전자·파네시아 등 산업계, 고려대학교 등 학계, 국회예산처·한국연구재단 등 주요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ETRI는 이날 AI 메모리 분야 국가전략프로젝트 투자 타당성 분석 결과를 공개하고, 민간 중심의 투자 구조를 보완할 정부 R&D 지원 방향과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발제를 맡은 ETRI 기술전략연구본부 이승환 본부장은 HBM 등 기존 기술의 초격차 유지를 위한 수직확장, CXL 등을 통해 메모리의 효율적 활용을 촉진하고 관련 생태계를 조성하는 수평확장, 3D D램 등 차세대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미래소자 개발을 축으로 하는 ‘3축 공진화 전략’을 발표했다.

ETRI는 산학연의 협업을 통한 3대 분야에 대한 공진화 전략으로 AI 시대 메모리의 핵심가치인 ▲기술 성능 ▲운영 효율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ICT전략연구소 한성수 소장은“AI 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을 넘어 시스템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이라며 “민간 위주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정부의 전략적 R&D 지원과 산학연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진화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승찬 원장도 “AI 메모리는 AI 패권 경쟁의 승패를 가를 국가 전략 기술이자 차세대 산업의 쌀”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 반도체 산업의 도약을 이끌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