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AI로봇 전략프로젝트 기술·정책 토론회 개최

2025-11-21     이성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21일 AI로봇지능 기술의 미래 발전 방향과 투자 타당성을 논의하는 기술·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로봇 산업의 중심 가치가 정밀한 하드웨어(몸체)에서 AI 기반 소프트웨어(두뇌)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산업 패러다임의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는 방승찬 ETRI 원장을 비롯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한국AI·로봇산업협회, 국내 주요 로봇 기업, 학계 등 로봇·AI 분야를 대표하는 산·학·연 최고 전문가들이 참석해 AI로봇 분야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신용희 ETRI ICT전략연구소 기술정책연구본부장은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이 2035년까지 10년간 약 90배 가까이 성장해 최대 1730억 달러(약 24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로봇에서 ‘지능’이 차지하는 가치 비중도 점차 증가해 2035년에는 3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아울러, 앞으로는 로봇의 ‘두뇌’기술을 선점하는 것이 시장 주도권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AI모델, 시스템SW, 데이터 등 ‘로봇지능’ 전반의 기술 역량이 열위에 있어 AI·SW 핵심 기술의 해외 의존도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에 본 토론회에서는 우리나라가 AI로봇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3대 핵심 전략이 제안됐다. 이는 ▲유연 로봇지능 확보(메타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생 협력형 생태계 구축(K-로봇지능 에코시스템) ▲소버린 로봇 데이터 구축·활용(로봇지능 데이터 플라이휠)을 핵심 축으로 한다.

발제에 이어 한성수 ETRI ICT전략연구소장 주재로 진행된 토론에서 전문가들은 미래 핵심 기술로서 AI 로봇지능의 중요성과 국가 차원의 투자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 경쟁력 있는 AI 로봇 기술개발과 한국 로봇지능 생태계 강화, 민·관 협력 모델 구축 방안 등을 논의했다.

ETRI 방승찬 원장은 “로봇의 가치는 더 이상 강한 몸체(HW)가 아닌 유연한 두뇌(SW)에서 나온다. 미국과 중국이 국가적 역량을 쏟아붓는 지금이 바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역량과 흩어져 있는 AI 기술력을 하나로 모아야 할 골든타임"이라며 "우리만의 독자적인 기술 생태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