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도시 대전, ‘자생적 딥테크산업‘ 선도해야"
민주 대전시당, '과학수도 완성과 대전의 미래성장전략’ 정책 토론회 개최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이 스스로 혁신을 주도하는 ‘자생적 딥테크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를 발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박정현)이 25일 장철민 의원과 시·구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과학수도 완성과 대전의 미래성장전략’ 정책 토론회에서다.
고영주 박사(전 대전과학산업진흥원장)는 ‘대전의 미래를 여는 과학산업 발전 방안’ 주제 발표를 통해 대전이 WIPO 평가에서 ‘아시아 1위, 세계 6위’의 과학기술 클러스터로 인정받고 바이오 기업 시가총액만 49조 원에 이르는 독보적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이러한 역량이 지역 혁신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존의 대기업 중심, 중앙부처 주도형 혁신 모델은 한계에 봉착했다”고 평가하며, “지역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중앙이 이를 지원하는 ‘내생적 혁신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실행 전략으로는 ▲지식재산·투자·인재 규모의 2배 확충 ▲바이오·우주·반도체 등 지역 강점 산업의 공급망 강화 ▲충청권 첨단산업 벨트 구축 등으로 구성된 ‘10대 추진 의제’를 제시했다.
고 박사는 “성공적인 과학산업 수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산·학·연·관은 물론 시민과 정치권까지 협력하는 ‘쿼드러플 헬릭스(Quadruple Helix)’ 모델이 필수적”이라며, “대전이 중앙의 예산만 기다리는 수동적 자세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과 경쟁하며 대한민국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민병권 교수(한남대)가 좌장은 맡은 가운데 토론자로 나선 권기석 교수(한밭대학교)는 “대전이 풍부한 연구 인력과 자원을 갖추고도 지식이 비즈니스로 연결되는 혁신 생태계와 거버넌스가 부족해 실질적인 경제 발전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중국의 성장 사례나 과거 KIST 설립 당시의 파격적인 지원처럼,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리더십과 실행체계를 도입해 인재가 모이고 기술이 사업화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석균 박사(ETRI)는 “출연연이 연구과제 중심 제도(PBS)라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지역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웠던 현실”을 지적하며, “대전시가 전략 자산인 출연연을 주도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치권이 적극적인 조정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남현 대표(주 알앤디프로젝트)는 “대전의 IT 및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실질적으로 지역 청년들에게 가장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행정적 지원 부족과 인프라 부재로 인해 기업들이 소외받거나 지역을 떠나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도심 역세권에 판교와 같은 ‘테크노밸리’를 조성해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만 지역 경제 활성화와 세수 확보가 가능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