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4차 발사 성공...민간 주도 ‘뉴 스페이스’ 시대 열렸다

2025-11-27     이성현 기자
누리호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성공하면서 본격적인 민간 주도 ‘뉴 스페이스’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7일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브리핑을 통해 4차 발사 성공을 공식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은 대한민국이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갖췄음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정부와 민간 국가연구소가 하나의 팀이 돼 수행한 최초의 민관 공공 발사로 우리나라 우주산업의 생태계가 정부 중심에서 민간 중심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누리호는 이날 오전 1시 13분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우주로 향했다. 당초 예정된 발사시각은 오전 12시 55분이었지만 발사 8분을 남기고 연료와 전기를 공급하는 엄빌리컬 타워 회수 과정에서 압력 센서 이상이 감지되며 18분 지연됐다.

이후 오전 1시 3분 발사자동시스템(PLO)이 가동됐고 10분 뒤 하늘로 솟아올랐다. 이륙 약 2분 뒤 1단 로켓이 분리됐고 3분 50초 뒤 위성 보호 덮개(페어링) 분리도 성공했다.

발사 4분 30여초 후 2단 로켓이 분리됐으며 오전 1시 25분 목표 궤도인 600km에 도달한 누리호는 탑재한 인공위성을 순차적으로 사출했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분리된 후, 20초 간격으로 나머지 12개 위성이 2기씩 사출됐다.

위성을 모두 내보낸 누리호는 오전 1시 31분경 우주항공청이 당초 예상했던 시간보다 3분 일찍 종료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이날 오전 1시 55분경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통해 태양전지판의 전개 등 위성 상태가 정상인 것이 확인됐다. 부탑재위성 12기의 경우 각 교신 수신 일정에 따라 순차저긍로 지상국과 교신을 진행할 예정이다.

누리호 4호기는 1·2·3차 발사 때와 달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기술이전 이후 처음으로 민간 기업 주도로 제작된 첫 발사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내년 예정된 5차, 6차 발사에서 민간 참여영역을 넓혀 진정한 민간 중심 우주발사체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2028년 7차 발사를 계획하고 있으며 8차 발사부터는 1년에 한번 누리호를 발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이재명 대통령도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밤낮없이 힘을 다해주신 연구진과 관련 산업 종사자분들게 깊은 감사와 격려의 마음을 전한다”며 “멈출 줄 모르는 혁신으로 대한민국의 우주 시대를 열어가는 여러분이 참 자랑스럽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