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의원, 자동차 결함 BMW코리아가 17건 가장 많아

2013년 제작결함 신고 3천건 중 1천2백여건이 엔진결함, 국토부 리콜 조치 전무

2013-10-20     김거수 기자

2010년 이후 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결함신고센터’에 접수된 결함신고 건수가 1만4천건을 넘는 등 매년 크게 증가하는데 BMW코리아가 17건 가장 많았으며 강제리콜은 현대자동차가 5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공단 조사에 따른 국토부의 리콜 조치는 미온적인 것인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만 6월까지 접수된 결함신고가 3천건을 넘고 1천2백여건이 안전과 직결된 엔진결함에 대한 사안이지만 국토부에 의한 리콜 조치는 내려진 바 없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흠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자동차 결함신고는 2010년 1,869건에서 지난해 4,784건으로 크게 늘었으며 올해는 6월까지 3,331건에 이르고 있다.

김태흠 의원은 “자동차 품질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크게 늘고 안전에 위험이 높은 신고가 많아지고 잇는데 반해 리콜 조치의 대부분이 제작사에 의존하고 있다. 교통안전공단과 국토부의 적극적인 조사와 사후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결함 내용을 보면 2010년 이후 접수 된 14,076건 중 30.2%인 4,244건이 엔진 관련 신고이고 올해 신고건 중 37.5%인 1,248건도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올해 교통안전공단과 국토부가 시행한 ‘강제리콜’은 실적이 전혀 없다.

‘자동차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경우’라는 국내 리콜요건이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제작사별로는 2010년 이후 현대자동차에 대한 신고가 4,07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기아자동차(3,187건)와 한국지엠(2,764건)이 뒤를 이었다. 특히 수입차는 129건에서 지난해 435건으로 3배 이상 늘었다.

자동차 제작사들이 제작결함을 수리 또는 보상해주는 ‘리콜’은 2010년 이후부터 올해 6월까지 총 178건(승용차)에, 대상차량은 총897,101대에 이르는데 이중 자동차 회사들이 자발적으로 시행한 리콜이 161건(723,491대)이었고 국토부에 의해 리콜조치 된 것은 17건(173,610대)에 그쳤다.

자발적 리콜은 BMW코리아가 1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강제리콜은 현대자동차가 5건으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