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청년위원회 일부 시,도당 공심위 설치 반발

여성․청년․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배려, 정치 신인에 공정한 기회 보장 촉구

2014-02-21     김거수 기자

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는 20일 보도자료를 내고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부 시․도당의 공심위 설치하고 위원마저 내정했다는 것은 국민과 약속을 헌신짝 만들 셈이냐고 반발했다.



청년위원회는 "민주당 일부 시․도당에서 기습적으로 공천심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위원마저 내정했다. 이렇게 진행된 공심위 설치 과정이 과연 원칙에 맞는 집단지성 발현의 결과일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게다가 "설사 공천제 폐지가 논의되고 있는 기초선거가 아닌 광역단위 공천만을 염두에 두었다고 하더라도, 공당의 조직으로서 충분한 의사소통 없는 일방적이고 기습적인 과정으로 인해 국민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행태는 지양했어야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위원회는 이어 "공천제 폐지는 지난 10여 년 간 한국 정치를 분열과 증오, 오만과 부패로 추락시킨 정치권이 스스로 반성하고 특권을 포기하겠다는 여야 모두의 대국민 약속이었다. 민주당은 작년 7월 전 당원 투표를 통해 67.7%의 찬성률로 기초선거 정당공천제 폐지를 당론으로 확정했으며, 국민의 70%가 정당공천제 폐지에 찬성하고 있다. 공천제 폐지 관철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새누리당의 반대로 정당공천제 폐지가 관철되지 못한다 하더라도 이번 지방선거는 정치변화를 바라는 국민적 열망에 부응하는 혁신공천이어야 한다. 당이 말하는 혁신, 공천개혁 등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무너진 지 오래인데 정치권만 이를 모르고 있다는 뼈아픈 지적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년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원칙에 입각한 혁신공천이 실시되어야 한다.

▲ 당 지도부의 지속적인 개혁공천 의지와 과감한 기득권 포기가 전제되어야 한다. ▲ 공천심사위원회는 밀실을 깨부수고 충분한 소통에 바탕 한 공개적이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공천권을 유권자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 국민들로부터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제도로서의 가치성을 지니는 개혁안을 마련해야 한다.

▲ 공천의 기준은 공직에 대한 소명의식과 정치개혁 의지, 높은 도덕성, 뛰어난 자질과 역량 등 국민의 눈높이에 따른다. ▲ 여성․청년․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정치 신인에 대한 공정한 기회를 보장해야 한다.

위원회는 "문제가 된 시․도당은 즉시 공천심사위원회 설치를 백지화 하고, 공천제 폐지의 정신, 개혁공천 원칙에 충실하라. 이제 정말 말로만 하는 공천개혁 이벤트를 멈추어야 할 때다. 기득권을 내려놓고 싶어 하지 않는 정치권의 오늘을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음"을 경고하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