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6‧4 지방선거 출마자 속 탄다

'기초선거 무공천‘ 후보난립 만표이내 접전지역 많아 낙선 우려

2014-03-27     김거수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26일 김한길ㆍ안철수 공동대표 체제가 임기1년의 지도부가 공식 출범하면서 6‧4 지방선거 출마자들의 마음이 착찹하다.


신임지도부는 '기초선거 무공천‘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6월 지방선거 결과보다는 차기 총선과 대선에 관심이 더 많다는 것을 알 수가 있어 더 그렇다.

지도부와 정반대로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대전,충남지역 현역 기초단체장, 광역, 기초의원들은 '기초선거 무공천 논란'으로 속마음은 그리 편하지가 않다.

이들 현역들은 기초선거 무공천 논란으로 많은 후보자를 양산하는 결과로 인해 현역들의 선거 전략에는 큰 손해를 보는 느낌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당락을 좌우하는 표차가 만표에서 오천표 이내에서 접전을 펼쳐야하는 지역의 기초단체장, 광역, 기초의원들은 후보자 난립으로 자칫 근소한 표차이로 패할 수 있어 전전 긍긍하는 모양새다.

머리가 복잡한 것은 현역의원들과 당협위원장들도 둘다 마찬가지다 공천권이 사라져 처음에는 별 부담이 없어보였지만 너무 많은 후보자들의 난립으로 정리가 안 되면서 속을 끓고 있어 재검토 요구는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의 광역단체장ㆍ광역의원 후보자 공천 룰은 새로운 당헌ㆍ당규에서 당원경선과 국민참여경선 외에 국민경선을 추가한 것은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 이해득실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란 지적이다.

이와관련 신당의 당헌ㆍ당규를 지휘한 이상민 의원은 "국민경선은 당원이 없는 새정치연합을 배려해 당원과 일반국민을 구분 없이 선거인단으로 참여시키는 방식"이라며 "국민참여경선과 달리 표의 가치도 똑같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경선은 민주당 출마자들에 비해 조직이나 당원들의 열세를 보안해주기 위한 여론조사와 공론조사식 배심원제 등을 조합하는 방식은 전략 공천 '5 대 5 원칙'에 따른 공천 지분 보장 차원이여서 공천을 둘러싼 갈등은 불가피 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