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여론조사 ‘널뛰기’ 도마위

교육감 선거 사상 처음으로 교호순번제도입에도 아직도 가나다순

2014-05-28     김거수 기자
<정치전망대> ‘널뛰기’ 양상을 보이고 있는 6‧4 지방선거 특히 교육감후보 여론조사 문제가 도마위에 올랐다.

대전‧충청권 각 언론사가 경쟁하듯 발표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가 큰 차이로 엇갈리며 일부 후보진영에서는 여론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을 갖고 조사의 적절성 문제에 이의를 제기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이번 교육감선거에서는 선거 사상 처음으로 투표용지에서 1번·2번 등의 번호가 사라지고 선거구마다 후보 순서를 바꾸는  ‘교호(交互)순번제’가 도입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름 가나다순으로만 여론조사를 실시한 사례가 많아 더욱 신뢰성을 의심받고 있다는 것이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와 함께 교육감 후보에 대한 여론조사가 후보라는 공통된 표현보다 각각 개인의 직함을 사용, 어떤 표현을 쓰느냐에 따라 조사결과가 다르게 나오고 있는 점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40-50%대에 달하는 교육감 선거 여론조사의 부동층은 조사 결과와 실제 투표 결과가 다를 수 있다는 관측을 만든다는 점에서 조사기관과 언론사 등의 전향적 태도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지역 정치권은 요동치는 모습이다. 후보자들이 열론조사 기관에 의뢰해 자체 조사에 나서는 한편, 일각에서는 후보자 캠프와 소속 정당이 여론조사를 실시한 언론기관에 항의 방문하는 전대미문의 사건까지 발생했다.

선거가 종반부로 치달으면서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선거 조직이 흔들릴 수 있음은 물론, 여론조사 결과가 선거 당락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역에서는 각 언론사에서 실시하는 여론조사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 교육감 선거캠프의 한 인사는 “부동층이 40%가 넘고 조사 마다 1‧2위는 물론 모든 후보의 순위가 뒤바뀌는 조사를 누가 신뢰할 수 있겠느냐”면서 “여론조사 기관은 물론 이를 의뢰하는 각 언론사에서도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