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물 돌려막기’로는 실효성 없다
환경단체 ‘역펌핑’통한 유지유량 사업 중단촉구
지난 9월 15일 오후 1시 30분 대전시청 기자실에서 공동으로 반대성명을 낸 것. 대전천의 건천화를 방지하기 위해 유등천과 대전천이 합류되는 삼천동 지점이 취수보를 설치하고, 가압펌핑시설을 이용하여 유등천의 하천수를 옥계교까지 압송, 방류하는 사업에 대한 것으로 약 111억원의 공사비를 소요될 예정이다.
환경단체가 역펌핑 사업을 반대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예산의 효용성 문제다.
이미 지난 8월말 수질오염 총량제에 대비해 내년부터 2009년까지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추진할 것이 결정된 상황에서 이중의 비용을 들여 세금을 낭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
“약 3000천억원의 재정이 소요되는 하수관거 정비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면 5년 이내 필요한 하천 유지용수 확보가 가능하다. 2년이라는 기간의 차이는 있지만 같은 효과를 가져올 하천수 정비사업에 대해 비효율적인 행정집행을 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환경단체의 입장이다.
이러한 의견의 근거로 그동안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던 계곡수, 지하수, 우수 등의 불명수의 양이 언급됐다. 지난 9월 2일 대전발전연구원의 ‘금강오염관리 시행계획 중간보고’에서 발표된 것처럼 하수관거정비사업을 통해 2010년까지 약 13만 8천톤의 불명수가 유입될 것이라는 견해.
대전환경운동연합 김종남 사무처장은 “하수관 정비 대상지역을 원도신임 대전천과 유등천 주변을 중심으로 먼저 시행한다면 3대하천 생태공원화조성 사업에서 필요로 하는 대전천 7만 5천톤, 유등천 8민톤 등 총 15만 8천통의 하천유지수 확보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기자간담회 장에 참석한 대전광역시 하천계 신현상 계장은 “용역업체와 지난 9월 7일 검토해본 결과 우리가 만족할만한 유량확보가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며 “환경단체가 말하는 불명수의 양은 대전시에서 예측하는 불명수의 양(약 1만여톤)과 차이가 많다”고 말했다.
이에 대전충남녹색연합 박정현 사무처장은 “불명수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불투명하고, 기대치 또한 다른 상태이기 때문에 더욱 새로운 대안을 받아들이고, 합리적인 검증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 아닌갚라고 의견을 피력했으며 대전시 측은 “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하는 과정에서 ‘설계변경’ 등 부분적인 반영을 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일단락했다.
내달인 10월 19일 입찰을 앞두고 있는 대전시 측은 환경단체의 강력한 사업중단 요구에 난감한 입장이
됐다. 생태하천조성 추진위원회가 ‘생태적’ 기능보다 ‘하천개발’ 기능에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제안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을 것. 대전시가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을 어떤 방식으로 수렴할 것인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