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은 집도 있다, 몸(신당)만 와라”
산소 호흡기 끼고 있어도 '죽은 것은 아니다'
가기산 청장은 이날 충청권의 대동단결를 주장하며 "충청이 하나의 민심으로 가야한다고 생각해 통합 당론을 제시했다"며 이에 당론으로 "자민련, 혁신을 위한 공청회 기자회견 이후 자민련 측에서는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확고한 통합의 의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러나 "신당에서 통합의지를 명확히 보이지 않고 통합방법론만을 비추고 있어 자민련과 신당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가 청장은 “자민련은 건물보유를 하고 있어 신당에 비해 경영상 문제가 없다"며 "선관위의 국고 보조금만으로도 당 유지에 문제가 없다. 한 명만 있어도 법적 기반이 다져져 있어 당의 간판은 내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가 청장은 이어 자민련의 상황과 관련 "산소 호흡기를 끼고 있어도 죽은 것은 아니다” 라고 비유하며 당에 대한 강한 애정을 내비치기도 했다.
가 청장은 또 "언론의 신당관련 기사는 공식적인 입장이 아니다. 다만 신당에서 대변인을 세워 움직임을 정확하게 보여 줘야 한다"고 강조하며 답답한 심정을 보이기도 했다. 가 청장은 "지난 얘기지만 자민련이 대전에서 한 명의 국회의원이라도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며 "우물을 파면 구더기가 낄지 모르지만 잉어나 쏘가리가 들어오는 우물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는 자민련의 젊은 인재발굴에 대한 아쉬움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한편으론 “내년 지방선거에서 출사표를 던질 출마자들은 중앙당 당직자들이 우왕좌왕하기 때문"이라고 지도부에 문제를 제기하며 "당의 진로를 정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 청장은 이와 관련, 자민련의 조속한 진로 설정을 김학원 대표에게 촉구하기도 했다 .
한편 일부에서는 '가기산 청장의 행보에 따라 자민련의 생사가 걸려있다'는 시각이 있다. 따라서 가 청장의 자민련 탈당은 대전에서의 정치적 지지기반이 상실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가기산 청장이 비중이 큰 인물이 죽어가는 소속당의 버팀목으로 자민련의 화신으로 갈 것인지, 아니면 보수정당으로 말을 갈아 탈 것인지를 두고 지역민들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앞으로 가 청장의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가 청장을 아끼는 쪽은 제1야당에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또다른 한쪽은 당 간판을 내릴 때까지 지조를 지켜야한다는 설이 분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