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우정청, '대포통장과의 전쟁' 선포

우체국, 대포통장 근절 종합대책 마련하고 강력시 시행

2014-09-18     조홍기 기자

충청지방우정청(청장 김영수)이 대포통장과의 전쟁에 돌입한다.

지난해 금융기관 대포통장 피해 건수가 2만여건에 달하고 피해액도 1,400억원에 육박함에 따라 ‘대포통장 근절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18일부터 대포통장 악용 원천 차단에 나선다.

특히 은행권의 대포통장 단속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로 새마을금고, 우체국, 증권사 계좌가 대포통장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근절하기 위하여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충청지역 32개 총괄우체국을 포함해 전국 우체국에서는 이날 동시에 ‘대포통장과의 전쟁’ 선포식을 갖고 대포통장의 범죄 수법과 악용에 따른 피해 사례 등 홍보를 펼쳤다.

금감원 대포통장 피해구제 접수현황에 따르면 2012년 2만16건이던 피해 건수는 지난해 2만1,464건으로 늘었으며, 올 상반기만 1만1,082건이 접수돼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액도 2012년 1,165억원, 2013년 1,382억원, 올 상반기 872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또한, 고객이나 휴면고객의 요구불계좌 개설 요구시 원칙적으로 통장개설만을 허용하고, 현금·체크카드는 신청일로부터 15일 이후에 지연 발급한다. 통장이 개설된 경우에도 의심계좌에 대한 등록기준을 강화하고 모니터링 기법을 고도화해 의심거래가 발생하면 즉시 통장을 지급 정지 한다.

충청지방우정청에 따르면 올해 우체국에서 개설돼 대포통장으로 악용된 계좌의 98.9%가 ‘신규 고객 또는 휴면고객’으로 나타났으며, 99.7%가 현금·체크카드를 동시에 발급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악용된 계좌의 90%는 통장개설 후 15일 이내(3일 이내 61.1%, 30일 이내 93%)에 대포통장으로 사용됐으며, 발급자는 내국인(법인 포함)이 99.7%, 연령은 30~50대가 7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지방우정청은 이밖에도 대포통장 경보제 시행, 금융감독원·타금융기관 등과의 정보공유 강화, 매월 대포통장 근절 홍보의 날(매월 3번째 수요일) 운영 등 대포통장이 근절될 때까지 전사적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김영수 청장은 “대포통장 근절 종합대책 시행으로 통장개설 절차가 강화돼 다소 불편이 발생할 수 있지만, 기존 거래고객에 대해서는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면서, “대포통장 근절을 위한 부득이한 조치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