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회, 지방의료원 만성적자 강하게 비판
김종필 의원, 24일 기자회견 통해 지방의료원 방만한 경영 지적
충남도의회가 ‘착한적자’라고 불리는 지방의료원의 적자 부분이 사실상 ‘공공의료’에 투입되지 않은 채 의사 호주머니만 채우는 경영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충남도의회 김종필 의원(서산2)은 24일 도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공을 외치는 의료원이 공공을 위해 사용한 사업비는 미비하다”고 지적했다.김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4개 의료원이 2013년 1년간 공공적인 의료사업비로 쓴 금액은 7억9천만원이다.
반면 4개 의료원이 밝힌 지난해 적자총액은 118억5천만원(장례식 수익 제외)으로, 5년간 260억8천만원의 누적적자를 기록했다. 단순 계산으로 적자액의 6.6%만 공공의료 사업비로 투입된 셈이다. 이에 따른 고정부채가 428억 8천만원에 달하는 등 돌파구 마련이 쉽지 않아 보인다.
김 의원은 “응급실 운영을 통한 적자 21억7천100만원(4개 의료원)을 더해도 88억8천900만원의 적자 행방은 찾을 수 없었다”며 “이 돈은 성과금 또는 복리후생비 명목으로 잔치를 벌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4개의료원에 지난해 121억 5천만원의 혈세가 투입됐다. 이미 의료원의 방만 경영이 세금을 녹이는 용광로로 변해버렸다”며 “오히려 의료원의 병실, 응급 진료비 등이 일반 병원보다 비싼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의료원의 적자를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성과금 지급 탓으로 꼽았다. 실제 4개 의료원 의사들의 평균 성과금은 1억6천800만원으로, 최대 3억2천200만원을 가져가는 의사도 있다는 게 김 의원의 분석이다. 반면 기본급은 평균 5천250만원에 그쳤다. 기본급보다 약 3배 이상씩 성과금을 더 받는 급여체계인 것이다.
이에 김 의원은 “각 의료원이 경영개선 계획에서 매번 내세우는 인건비율을 현재 61.7~69.2%에서 55%내로 줄여야 한다”며 “보수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해야만 가능하다. 보수규정과 의사 성과금 지급 기준을 모두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