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기 의원, 화재경계지구 화재발생 많아
전국 115개 화재경계지구, 2곳 중 한곳 꼴로 해마다 화재발생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정용기 의원(새누리당, 대전 대덕)이 소방방재청과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들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9년부터 금년 8월까지 화재경계지구에서 284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경계지구는 건물이 밀집한 지대로서 화재 발생의 우려가 많거나 화재로 인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시장지역, 목조건물 밀집지역, 석유화학 공단지역 등이 주로 지정되고 있다. 화재경계지구로 지정되면 매년 소방특별조사를 실시하고 각 지구마다 소방훈련과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2014년 8월 기준, 화재경계지구는 시장 78개소와 목조건물 밀집지역 20개소 등 115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소방당국의 관리에도 불구하고 화재경계지구에서 발생한 화재건수는 2009년 44건에서 지난해 57건까지 늘어나며 증가추세에 있다. 115곳의 화재경계지구 중 절반 가까운 곳에서 해마다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6명이 사망하고 21명이 다치며 10명이하이던 예년 수준에 비해 인명피해도 크게 늘어났다.
같은 지구에서 화재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것도 심각한 문제이다. 같은 기간, 서울 구룡마을에서는 11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그 외에 인천 보람농장 22건, 대전 중리시장 11건, 경북 포항 죽도시장 11건 등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도 다수 있어 자칫 대형사고의 위험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수국가산업단지의 경우 2009년부터 금년 8월까지 59차례나 화재사고가 발생하며 6명이 목숨을 잃고 34명이 부상을 입은바 있다.
정용기 의원은 “화재가 발생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되는 곳을 화재경계지구로 별도 지정해 관리하고 있음에도 끊임없이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라며 “화재경계지구에 비상소화장치와 같은 소방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관리하는 한편, 예방을 위한 점검활동과 민관 합동 훈련 등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의원은 “화재경계지구는 구조적으로 화재에 취약한 만큼, 자치단체장들이 보다 관심을 기울여 지역 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며, “재정적, 행정적 지원과 함께 해당지역의 정비계획을 마련하는 등 중장기 개선방안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