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 돕는 김엡" 정부, 2천억원 규모 대북지원
2006-08-21 편집국
| 쌀 10만톤 · 덤프트럭 100대 등 2천2백억원 규모 수해복구 지원키로 |
정부가 대규모 수해를 입은 북한에 대해 2천억원이 넘는 긴급지원을 하기로
결정했다.이같은 규모는 지난 2004년 용천참사 지원보다 3배가 넘는 대규모 지원이다. 신언상 통일부 차관은 20일 오후 긴급 브리핑을 갖고 "북한의 수해가 대규모인데다 실질적인 도움을 필요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신 차관은 "이번 지원은 민간단체 및 정치권의 지원촉구와 북한의 피해상황 등을 감안해 순수한 인도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 차관은 "이번 지원을 놓고 남북당국간 남북관계나 이산가족 문제를 논의한 바 없다"며 무조건적인 지원임을 거듭 강조했다. 정부가 이날 밝힌 대북지원 내역은 ▲쌀 10만톤(부대비용 포함 1,950억원 상당)과 ▲시멘트 10만톤,철근 5천톤,덤프트럭(8톤)100대,굴삭기 50대,페이로더 60대 등 복구장비(부대비용 포함 260억원 상당)▲ 모포 8만장, 의약품 등 긴급 구호품(20억원 상당) 등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남북협력기금 7백여억원과 양곡관리특별회계 1,550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정부는 '상황이 어려우니 가급적 빨리 지원해달라'는 북측의 요청에 따라 우선 쌀은 비축된 국내산쌀을 구입해 이달말부터 수송하고 복구장비도 구매하기 쉬운 중고품 위주로 지원하는 등 지원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다. 복구장비는 인도요원이 북측 요원들에게 사용법 등을 가르친 뒤 인도할 방침이다. 또한 수해로 북한의 도로,철도망이 끊어진 점을 고려, 해로를 이용해 구호물자를 수송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분배 투명성 등을 위해 지원이 어느 정도 이뤄진 뒤 피해지역 중심으로 현장을 방문해 쌀,복구자재 분배 현황 등을 검증하기로 하고 추후 남북연락관 접촉을 통해 구체적인 절차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
정부가 대규모 수해를 입은 북한에 대해 2천억원이 넘는 긴급지원을 하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