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복지·보건 수준, 눈에 띄게 상승

하위권 12개 감소 등 지표상승, 9개 도 중 7위에서 4위로 올라

2015-05-12     최주민 기자

충남도의 복지·보건 수준이 민선 5기 동안 전반적으로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도에 따르면, ‘복지·보건 중장기 계획(2014∼2023)’ 추진 1년차인 지난해 도의 복지·보건 수준을 점검하기 위해 8대 분야 66개 지표를 추려 분석한 결과, 6개(9%) 지표가 기준선을 넘고, 39개(59%)개 지표는 상승했으며, 전년 수준을 유지한 지표는 2개(3%), 하락 지표는 19개(29%) 등으로 집계됐다.

또한 도별 순위 비교가 가능한 49개 지표 분석 결과, 충남은 2013년 7위에서 4위로 세 단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상위권(1~3위)은 15개로 변동이 없었으나, 중위권(4~6위)은 14개에서 26개로 12개가 증가했고, 하위권은 20개에서 8개로 12개가 감소하는 등 중하위권 지표의 개선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표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보면, 복지 인프라 분야에서 ▲일반회계 재정 대비 복지·보건 재정 비율은 2013년 24.97%에서 지난해 28.56%로 3.59% 상승했다.


이처럼 도내 복지·보건 수준이 크게 향상된 것은 그 간 관계 부서를 중심으로 하위지표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 왔으며, 복지 관련 정부의 각종 평가와도 연계하여 관리해 온 결과로 보여 진다.

이에 따라 ▲도민 1인당 복지 재정은 44만 7000원에서 57만 4000원으로 ▲노인 1인당 복지 재정 88만 2000원→120만 원 ▲장애인 1인당 복지 재정 74만 7000원→96만 4000원 ▲영유아·아동·청소년 1인당 복지 재정은 231만 6000원→234만 7000원 등으로 각각 늘었다.

저출산 분야에서 ▲직장어린이집 설치 이행률은 23.8%에서 43.9%로 기준선을 초과하고 ▲국·공립 어린이집 설치율은 3.11%에서 3.31%로 증가했다.

고령화 분야 ▲노인 경제활동 참여율은 38.5%에서 42.9%로 ▲공적 장기요양 보호 비율은 7%에서 7.3%로, 사회복지 분야 ▲수급자 취·창업률은 17%에서 23.03%로 올라섰다.

장애인 분야는 모든 지표가 고르게 향상됐는데, ▲장애인연금 수급률 60.96%→69.34% ▲민간 부문 장애인 고용률 2.21%→2.4% ▲직업재활시설 장애인 근로자율 1.03%→1.25%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 구매율 0.81%→0.9%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62.11%→76.4%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보건 분야 ▲성인 비만율은 25.4%에서 26.2%로 개선되고, 식품의약 분야 ▲인구 10만 명당 보건의료기관 수는 159.9개소에서 163개소로 늘었으며, 여성가족 분야 ▲여성 고용률은 49.7%에서 50.3%로 ▲저소득 한부모 가족 탈 수급률은 3%에서 4.6%로 늘었다.

반면 ▲도민 1인당 보건 재정은 2013년 3만 6713원에서 지난해 3만 5541원으로 ▲합계출산율은 1.44명에서 1.42명으로 ▲지역아동센터 1곳당 아동 수는 1088명에서 1685명으로 ▲성인 흡연율은 44.9%에서 45%로 각각 하락하거나 여건이 나빠졌다.


유병덕 도 복지보건국장은 “이번 추진 성과 분석에서 드러난 강점은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군과 협의를 거쳐 8개 하위권 지표에 대한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등 지표를 지속적으로 견인해 2023년에는 복지보건 모든 지표를 1-2위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중하위권 수준의 충남 복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13년 도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마련한 복지·보건 중장기 계획은 ▲복지·보건 장기비전 및 지표개발과 기준선 설정▲지속적이고 실현 가능한 분야별 중점 추진과제 및 재정투자 계획 ▲복지·보건 분야 욕구조사,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담고 있으며, 2014년부터 10년 간 총 18조 957억 원의 재정투자를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