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리사 의원, "대전만 유일하게 소방 헬기 전문(全無)

타 광역시에 비해 현저히 적어 위급 시 시민안전 위협

2015-09-15     김거수 기자

국민안전처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9월 현재 전국의 소방헬기 보유는 총 27대로서, 중앙119본부와 서울, 경기도 소속이 각 3대, 제주도와 세종시 그리고 대전을 제외한 나머지 광역시·도에서 각 1~2대씩 보유하고 있다.

제주도와 세종시의 특별성을 감안하면, 전국 광역시·도 중에서 유일하게 대전만 소방헬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소방헬기는 산악과 해상에서의 긴급인명구조, 도서지역 위급환자 이송 등 주로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주요한 구조장비인데도, 인구 155만의 광역시인 대전에 한 대도 비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주민 안전망에 심각한 공백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전은 의료장비 및 의약품 등의 구급장비 역시 비슷한 인구 규모의 광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구비되어 있어 더욱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국민안전처에서 파악한 14년 말 기준 전국 시·도별 구급장비 보유 현황을 보면, 대전이 보유하고 있는 총 구급장비는 5,894개로 인구 150만의 광주가 보유하고 있는 8,919개 장비 수의 2/3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호흡관련 의료장비와 구급 의약품이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한 것이 더욱 문제이다. 예를 들어 전문기도유지 장치의 경우 광주가 288개를 보유한데 비해, 대전은 1/6 수준인 53개 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다. 수액공급용 포도당과 같은 구급의약품 역시 125개를 보유해 광주시 보유분 395개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리사 의원은 15일 열린 국민안전처 국정감사 질의를 통해, “소방헬기는 주로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골든타임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비인데도, 대전지역에 한 대도 없는 것은 자칫 위급 상황 시 주민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하며,

“국민안전처 장관께서는 이 같은 국민안전망의 허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전 광역시 등 지자체와 긴밀히 협조하고 구급장비 등 안전 보호 시설 확충에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