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원 입김, ‘과학기술창조의전당’ 설계변경에 한몫

‘과학기술창조의전당’은 돈 먹는 하마

2006-09-01     김거수 기자

컨벤션센터 지방재정 축내는 골칫거리로 전락

컨벤션센터는 자치단체마다 경쟁적으로 수백억 원의 예산을 쏟아 부어 가며 우후죽순 건립하고 있지만, 당초 기대와는 달리 지방재정을 축내는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임에도 대전시는 과학기술창조의전당(이하 창조의전당) 건립을 위해 사업비를 179억8000만원(481억1600만원에서 660억9600만원)이나 증액하고 있어 대전시의회가 시의 무리한 사업추진에 제동을 걸기 위한 대책마련에 들어가 주목된다.

1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김남욱·김재경·조신형·김태훈 시의원 등은 “사태추위를 보고 의회차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대전시 컨벤션센터 179억 외에도 손실보존금 총 573억원

현재 대전시는 창조의전당 179억원 외에도 지급해야할 손실보존금액으로 도시철도공사 250억원, 월드컵경기장과 한밭운동장 15억원, 문화예술의전당 40억원, 시내버스준공영제 208억원, 유휴도로보존비 60억원 등 총 573억원을 적자 보존해야 하는 실정이며, 일각에선 낮은 재정자립도로 인해 최악의 경우 SOC사업(사회간접시설)을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놓고 있다.

시의원 입김이 '과학기술창조의전당'  설계변경에 크게 작용

문제의 핵심은 주무부서 공무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창조의전당 설계변경을 누가 강행했느냐에 모아지고 있고, 취재결과 전·현직 대전시의원들의 거센 입김이 설계변경에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것으로 보인다.

당시 시의회 행정자치위소속 A·B·C모 시의원(제4-5대 시의회)들이 주무부서에 설계변경을 강력하게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주)대우건설이 단독으로 시공업체로 선정됐다 뒤늦게 계룡건설(주)과 현대건설(주)이 참여했는지도 의문이며, 이와 관련 스마트시티(유성구 도룡동) 시공업체에서 탈락한 현대와 계룡건설에 대한 배려가 아니냐는 추측까지 나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