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국감, ‘경영평가 3단계 상승’ 불구… 집중 질타

국토부 의원, 영업흑자 달성 격려 후… 문제점 다수 지적

2015-09-22     조홍기 기자

2014년 낙제점수인 E등급을 받았던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2015년 3단계 뛰어오른 B등급을 받으며 선전했지만 정작 국정감사에서는 많은 지적사항을 노출하며 의원들의 집중 질타를 받아 눈길을 끌었다.

22일 코레일 본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은 공기업 평가가 3단계나 수직 상승한 공기업은 코레일이 처음이며 특히 창사 이후 최로로 영업흑자를 달성한 부분을 격려했다.

하지만 짧은 격려 이후 곧바로 의원들의 집중 질타가 이어졌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는 코레일의 부채감축 노력이 ‘자산매각’이라는 방법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미래의 사업 밑천까지 팔아치우고 있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유휴자산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찾기보다는 매각이라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부채감축을 진행하고 있다”며 “마른 수건 쥐어짜는 식의 부채감축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 편익에 도움이 될 것인가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경기 고양 덕양을)은 차량고장, 선행열차 개통대기 등으로 열차지연이 4년 새 86.6%로 급증했지만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지연보상금을 지급한 승객은 전체의 36.1%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코레일이 열차 지연에 따른 보상금을 지급하고 있지만 보상을 받은 인원이 절반에도 못 미친다”며 “현행 1년으로 되어 있는 보상금 지급 기간을 연장하고 코레일 톡을 이용하지 않는 이용객에게는 홍보를 강화하는 등 보상금이 원활하게 지급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의원들은 코레일을 향한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했으며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각별히 유의하고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대답을 이어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