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의전당' 계약관련 수사당국 수사 초읽기

시민단체, “감사원과 검·경 수사로 의혹 밝혀야”

2006-09-05     김거수 기자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백억 원의 엄청난 재원을 들여가며 경쟁적으로 건립한 컨벤션센터들이 과잉공급의 후유증으로 인해 지자제들의 애물단지로 전략하고 있는 가운데 재정상황이 열악한 대전시도 추가로 사업비를 증액해가면서까지 컨벤션센터에 돈을 쏟아 붓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대전시가 지난 30일 시 홈페이지를 통해 밝힌 지방 채무는 7039억원으로 대전시민 1인당 48만원에 달하고 있다.

이외에도 대전시는 도시철도공사 250억원, 월드컵경기장과 한밭운동장 15억원, 문화예술의전당 40억원, 시내버스준공영제 208억원, 유휴도로보존비 60억원 등 총 573억원을 적자 보존해야 돼 일각에선 낮은 재정자립도로 인해 최악의 경우 SOC사업(사회간접시설)을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도 나오고 있다.

시의회, 특위구성 준비 중/ 사법당국, 창조의전당 수사 초읽기에 들어가

이와 관련 대전시의회는 시의 방만한 시책에 제동을 걸기 위한 특위구성을 준비 중이며, 사법당국도 당초 턴키방식으로 계약했음에도 179억원을 증액한 대전시와 가만히 앉아 돈을 챙기게 된 특정 건설회사간 특혜의혹에 대한 조사를 벌일 것으로 보여 지역 정가에 큰 파장이 예상되고 있다.

사법당국 관계자에 따르면 “과학기술창조의전당 계약과 관련해 관심을 갖고 있고, 현재 사태추이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수사가 초읽기에 들어갔음을 내비쳤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금홍섭 국장은 “턴키계약으로 입찰됐음에도 설계변경을 통해 179억원을 증액한 것은 이해가지 않는다”며 “설계변경 과정에서 어떤 절차를 통해 증액됐고 또, 누구에 의해 잘못된 행정이 추진됐는지 의혹을 풀 수 있도록 감사원과 검·경의 수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간 600여건의 국제행사 개최 위해 90여 곳에서 경쟁

국내에서 개최되는 국제행사는 연간 600여건 내외로 전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호텔과 컨벤션센터 90여 곳에서 개최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치루고 있지만, 사정이 여의치 못한 것은 마찬가지다.

현재 전국 주요 도시에 들어선 컨벤션센터는 서울 COEX, 대구 EXCO, 부산 BEXCO, 서귀포 ICC JEJU, 고양 KINTEX, 창원 CECO, 광주 김대중컨벤센센터 등 7곳이며, 건립공사가 한참 진행 중인 인천 송도 컨벤션센터도 2008년 문을 열어 국제행사 개최 경쟁에 뛰어들 기세다.

전국 컨벤션센터 모두 적자운영으로 자치단체 애물단지로 전락

최근에 문을 연(2005.9)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총 사업비 771억원(국비 434억원/시비 337억원)을 드려 문을 열었지만, 시작 첫 해부터 25억원의 운영손실만 남겼고, 올해도 7월 말까지 소규모 국내전시회 등 10건만 유치하는데 그치고 있어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후유증은 다른 곳도 마찬가지. 상대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여건이 좋다는 제주 서귀포 ICC JEJU도 2004년 69억원, 2005년 67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4월 문을 연 고양 KINTEX도 24억원의 적자를 봤으며, 창원 CECO도 문을 연지 4개월 만에 16억원의 적자를 내고 있다.

타 지역의 컨벤션센터는 설계 당시부터 다목적용 틀을 잡아 추진됐고, 현재 국제회의를 비롯 전시회, 공연 등을 유치하고 있음에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대전시가 추진 중인 과학기술창조의전당은 국제회의 개최를 전문 목적으로 한 시설로 유치 범위에 한계가 있어 대전시 재정운영에 커다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한편, 유상수 대전시 기획관리실장은 “부임한지 얼마 안 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련 공무원들을 불러 업무보고를 받고 대책을 세우겠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