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희 의원, 대전 원자력안전 전담기구 필요성 강조

‘원자력안전’ 업무 한명이 전담…적극 대책 마련해야

2015-11-10     박은영 기자

대전시의회 최선희의원(새누리, 비례)이 10일 시민안전실 행정사무감사에서 대전의 원자력안전 대책으로 전담기구와 전담인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동안 대전시는 원자력 관련시설이 집중되어 있지만 원자력연구원 등 국가사무와 관련되어 있어 사고발생시 대책 마련과 투명한 정보공개 요구 등에 있어서 적극적인 대처를 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 비상계획 구역 확대와 대전지역 원자력안전협의회 설치로 대전이 원자력안전 문제에 있어 더 이상 소외되지 않는 만큼 대전시의 원자력안전을 위한 업무분장이 필요할 때로 보여진다.

최선희의원은 최근 원자력연구원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이송과 관련해 시에 통보되었던 이송량(2015년 800드럼)과 실제 이송량(서울연구로 516드럼, 대전본원 284드럼)에 차이가 있었던 것도 원자력연구원과의 소통창구가 원활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지적했다.

또한 앞으로 대전은 ‘사용후핵연료’문제에 있어서 발전소 지역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대전시가 적극적으로 정부에 대책 마련 요구와 시민의 안전, 알권리를 위하여 일하기 위해서는 전담부서 설치, 전문인력 배치 등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현재 대전시에는 비상대비과에서 전담부서도 없이 직원1명이 원자력안전업무를 담당하고 있지만, 발전소가 있는 부산광역시의 경우 시민안전실에 원자력안전과가 설치돼 있다.

한편 최선희의원은 10일 대전 본원의 96드럼 이송을 시작으로 원자력연구원 내의 3만여 드럼의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이 2030년 이전에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대전시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