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 의정 구현"
피필스페셜 - 충남도의회 편
천안-아산역 분기역과 관련, 천안분기역 직결노선의 타당성을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 지난 달 ‘충남도정’에 이어 충남도의회를 이끄는 사람들을 만나보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설계하고 감시해 나가는 도의회 의원들의 이력을 정리해 본다.
박동윤(태안군 제2무소속) 1950년 3월 5일생. 명지대 교육대학원 행정학과 수료. 민주평통 자문위원, 태안군 재향군인회 고문으로
활동했다.
2002년 꽃박람회 추진 자문위원을 맡았으며 (사)한국청년회의소 안면 JC회장, 제6대 충청남도의회 후반기 부의장을
역임했다.
제4·5·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4선), 제7대 충청남도의회 후반기 의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김문규 제1부의장(천안시제3한나라당) 1950년 9월 23일생.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성환읍개발위원회 위원장, 성환라이온스클럽
회장을 맡은 바 있다.
대한적십자사 성환·직산봉사회
자문위원, 제6대 충청남도의회 운영위원장, 제7대 충청남도의회 후반기 제1부의장을 맡고 있다.
강태봉(아산시 제2한나라당) 1946년 2월 20일생. 동국대
식품가공학과 졸업. 아산청년회 14~15대 회장, 천안지청 아산
청소년선도위원 회장을 지냈다.
자유총연맹 아산시 지부장, 온양로타리클럽 회장,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 건설소방위원회위원장,
제7대 충청남도의회 후반기 제2부의장을 맡고 있다.
유태식(금산군 제2무소속) 1947년 5월 12일생. 중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제3대 금산군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제3대 금산군의회 행정사무감사 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대전지방법원 조정위원, 민주평화통일 금산군 부회장, 제7대 충남도의회 후반기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정종학(천안시 제4한나라당) 1954년 9월 1일생. 숭실대학교 졸업, 국제민간외교협회(국제PTP) 한국본부 부총재,
한국자유총연맹충남지회 부지회장, 천안시 평통자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총동창회장, 대한민국 ROTC천안지회장을
맡고 있으며 충남발전연구원 이사로 제7대 충남도의회 후반기 행정자치위원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최운용(공주시 제2무소속) 1948년 9월 25일생. 한양대학교 졸업. 제3대 공주시의회 후반기 의장을 지냈으며 바르게살기운동 공주시
협의회장을 역임했다.
대전지방법원공주지원 조정위원, 대전지방검찰청공주지청 법무부 범죄예방위원으로 있으며, 대한적십자사 대전·충남 대의원,
제7대 충남도의회 후반기 교육사회위원장을 맡고 있다.
송영철(논산시 제2자민련) 1960년 5월 9일생. 우석대학교 약학대학원 졸업. 전지방법원논산지원 조정위원, 논산시 체육회 부회장을
지냈다.
또한 한국자유총연맹논산지부 부회장, 논산대건고등학교 총동창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 충청남도
경제정책협의회 위원, 제7대 충남 도의회 후반기 농수산경제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길연(부여군 제1 자민련) 1951년 9월 6일생. 인천전문대학교 졸업. 백제중학교 교사, 부여군체육회 사무국장, 부여군 청년회의소
회장을 지냈다.
자유총연맹 충남도 운영위원, 제4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으로 당선됐다. 제7대 후반기 건설소방위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송민구(무소속) 1957년 10월 3일생. 충남대학교 최고 농업경영자과정 수료. 한국농업경영인 충청남도연합회장 및 충청남도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충청남도 소비자정책 심의위원, 자민련 공주연기자구당 부위원장직을 맡고 있으며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농수산경제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오찬규(보령시 제2무소속) 1949년 3월 26일생.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보령군 체육회 사무국장, 보령군정 자문위원, 제4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으로 활동했다. 평화통일 자문위원, 자유민주연합보령지구당 부위원장, 보령시 의료보험조합 대표이사로 활동한 바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왕지사장(별정1급)을, 제7대 충남도의회 전반기 운영위원회 간사를 지냈다.
성기문(당진군 제1무소속) 1947년 2월 16일생. 당진상업고등학교 졸업. 당진청년회의소 회장, 법무부 갱생보호회 위원이자 충남발전협의회 위원이다. 민족통일당진군협의회 회장, 대한적십자사 대전충남지사 대의원, 당진군의회 제1·2·3대 의원을 지냈으며 당진군의회 3대 후반기 의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당진군 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강동복(천안시 제2무소속) 1956년 8월 25일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충청남도 학원연합회장과 대한유치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민주평화통일 정책자문위원(제7기), 호서대학교 경영대학원 총동창회장, 천안시 학교운영위원회 협의회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천안중앙고등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국제로타리 3620지구 100주년 기념사업위원장을 지냈다.
김광만(아산시 제1자민련) 1957년 3월 20일생. 아산시 농어민후계자 연합회장, 제2대 아산시의회 후반기 총무분과위원장을 지내며, 제2·4대 아산시의회 의원, 평화통일정책 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주)만빛신문 발행인 겸 대표이사. 자민련 아산시지구당 부위원장, 자민련 중앙당농립위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박태진(논산시 제1자민련) 1944년 9월 30일생. 농업기반공사
논산지사장을 역임했다. 한국사진작가 협회중앙이사와
한국자유총연맹논산지부 수석부회장을 지냈으며 논산대건고등학교 총동창회장, 논산시 체육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간사, 호남고속철도 천안분기노선관철지원 특별위원장, 도청이전 추진지원 특별위원을 맡고 있다.이
이준우(보령시 제2무소속) 1946년 7월 17일생. 충남대학교 경영대학교 수료. 보령시 새마을지회 문고회장과 사단법인 한국 4-H연맹 보령시 지회장이다. 또한 제6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교육사회위원장, 제5·6대 충남도의원(3선), 제7대 의회 전반기 부의장을 역임했다.
이복구(서산시 제1무소속) 1945년 10월 17일생. 동국대 농학과 졸업. 서산청년회의소 회장과 민정당 서태안지구당 사무국장, 민주평통 자문위원을 지으며서산시의료보험조합이사, 제4·5·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4선)으로 활동한 바 있다. 제6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부의장,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의장을 역임했다.
차성남(서산시 제2무소속) 1949년 7월 26일생. 한국방송통신대학 행정학과 졸업. 부석고·서산농공고 행정실장, 서산교육청 관리과장으로 일했다. 충청남도교육청 관재·학사·의회법무를 담당했다. 서령고등학교 총동창회장, 서산여자고등학교 운영위원을 역임한 그는 현재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교육사회위원회 간사로 활동했다.
심정수(금산군 제1무소속) 1952년 6월 1일생. 교육행정 자문위원, 대전법원 조정위원, 금산신문사 대표직을 역임. 한국지역신문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했으며, 민주평통자문위원회 금산부회장, 국제와이즈맨 금산클럽회장으로 활동했다.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을 역임했다.
유환준(연기군 제1 무소속) 1945년 10월 5일생. 건국대학교 잠업과·대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초대 충청남도 교육위원을 지냈고 조치원중학교 총동창회장, 학교운영위원회 연기군협의회장을 맡고 있다. 또 연기군재향군인회 회장, 민주평화통일 자문위원, 고려대·홍익대 유치위원회 위원, 신행정수도이전대책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임상전(연기군 제2 무소속) 1943년 1월 17일생.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졸업. 116 R·O·T·C 제2기 수료하고 육군 소위
임관했다.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민방위 정신교육 강사 등으로 활동했으며 사회정화위원장,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장을 지냈다.
연기군의회
제1·2대 의원, 신행정수도 충청권이전대책 특별위원회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유병기(부여군 제2 자민련) 1950년 1월 15일생. 대전대학교 행정대학원 수료. 민주평통 자문위원, 부여군의회 의원, 새마을운동 부여군 지회장, 자유민주연합 충청남도 자문위원장, 충청남도 공동모급회장직을 역임했다.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교육사회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전영환(서천군 제1 자민련) 1962년 8월 7일생. 원광대 치과대학원 ·고려대 행정대학원 졸업. 서천군 정책자문단장, 서천환경운동연합의장으로 활동. 장항종합치과의원 원장인 그는 서천군 발전협의회장, 원광대학교 외래교수,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으로 활동한 바 있다. 자민련 보령·서천지구당 공동 위원장 직무대행, 장항초등학교 총동창회장, 제7대 충청남도 의회 전반기 운영위원장을 역임했다.
박영조(서천군 제2한나라당) 1952년 10월 15일생. 기독음대 졸업, 고려대 정책과학대학원 수료. 국회의원 보좌관, 서천군 재향군인회장, 바르게살기운동 서천군협의회장을 지냈다. 한국신체장애인복지회서천지회장, 한국지역신문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또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2선),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행정자치위원회 위원장을 활동했다.
정선흥(청양군 제1자민련) 1938년 10월 12일생. 성균관대학 3년 중퇴. 국가대표 배구선수로 활동한 바 있으며, 청양중·고등학교 연합동창회장, 제4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운영 위원장을 맡았다. 제5대 충청남도의회 후반기 부의장, 제6대 충청남도의회 의원(4선), 충청남도체육회 부회장, 제7대 충남도의회 전반기 자민련협의회 회장을 역임했다.
유영호(청양군 제2자민련) 1946년 10월 19일생. 정산농업협동조합장, 농촌지도자 청양군연합회 회장을 지냈다. 청양군농어촌발전심의위원, 정산농협합병 초대 조합장으로 활동했으며 정산중학교 육성회장, 자민련청양부여지구장 부위원장, 충남발전협의회 지역부회장직, 제7대 충남도의회 전반기 농수산경제위원회 간사를 맡은 바 있다.
이종건(홍성군 제1한나라당) 1942년 5월 4일생.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홍성군 기획실장·식산과장·공보실장을 거쳐, 태안군 기획감사실장·내무과장, 보령군 재무과장직을 역임했다. 충청남도의회사무처 의사담당관, 홍성군 부군수, 전 홍성군 4-H연합회장(3·4대)을 지냈으며, 충청남도공직자윤리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이은태(홍성군 제2한나라당) 1958년 12월 23일생. 홍주고등학교 졸업. 광천청년회의소 부회장, 광천청년연합회 7대회장을 지냈다. 대한전기공사 대표인 그는 광천농협 감사, 흥성문화원 이사,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건설소방위원회 간사, 제7대 충청남도의회 전반기 의회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용면(예산군 제2한나라당) 1949년 11월 19일생. 예산농업고등전문학교 졸업. 한나라당 예산군지구당 부위원장, 홍성교도소 교정위원을 지내고 예산경찰서 선진질서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 예산라이온스클럽 회장, 평송초등학교 총동창회장·운영위원장을 맡은 바 있으며 평화통일 예산군 자문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기영(예산군 제2한나라당) 1954년 3월 5일생. 홍성고등학교 졸업. 충청남도 도정평가위원, 예산군개발위원회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예산 축산업협동조합 조합장을 역임했다. 홍성교도소 교화위원,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조정위원으로 있다가 한나라당 예산지구당 부위원장직을 맡았다. 2006인삼엑스포·벤처농업 박람회 자문위원을, 제7대 충남도의회 후반기 농수산경제위원회 간사직을 맡기도 했다.
명귀진(태안군 제1한나라당) 1936년 6월 16일생. 충남대학교 사학과 졸업. 태안농협 이사·감사, 서산원협 이사·감사 경력이 있으며, 새마을지도자 서산군협의회장을 맡은 바 있다. 또한 새마을운동 태안군지회장, 태안중학교 총동창회장과 귀문장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종웅(비례대표 자민련) 1959년 4월 7일생. 충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한국영농학생정착 지도위원, (사)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1·2대부회장, (사)한국농업경영인충청남도 연합회1·2대 회장, 한국농어민신문 이사 및 충남지사장, 충청남도농어촌발전 심의위원, 충청남도 도정평가위원, 충청남도지사 상담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제남(비례대표 민주당) 1954년 1월 15일생.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졸업.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과 재학. 한나라당 중앙위원이며 대한적십자대전·충남지사 여성봉사특별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도의회 운영위원회 간사, 평통자문위원, 충청남도 행정서비스헌장심의위원, 충남도 역사문화원 이사로 활동 중이다.
홍표근(비례대표 민주당) 1953년 12월 24일생.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고려대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중. 부여여자고등학교 총동창회장, 국제교류회 회장을 맡고 있다. 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위원, 한국주택관리학회 상임이사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국회여성위원회 상임이사로, 신행정수도 충청권이전대책 특별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김용환 도의원(자유민주연합) 1943년 1월 15일생. 명지대 경영학과 졸업. 서산 관광농원 대표인 그는 한국자유총연맹 서산부지부장, 서산문화원 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서산신용협동조합이사, 충청남도의회 의원직을 비례대표로 승계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