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중기 재정계획 구별 편차 심해

2006-09-19     편집국
가장 적은 대덕구는 소외론까지 주장
대전시가 중장기 지방재정 계획을 통해 지원하는 사업비가각 구청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5개 자치구 가운데 지원액이 가장 적은 대덕구는 대덕구 소외론까지 제기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방재정 운용의 기본틀인 중기 지방재정계획을 통해오는 2009년까지 80개 사업에 투자할 예정인 돈은 모두 3조 7천 682억원.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중기 사업계획이 5개 자치구별로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5개 자치구 가운데 사업건수와 사업비가 가장 적은 곳은 대덕구.

전체 80건의 사업 가운데 대덕구에 배정된 사업은 7건으로 전체의 9%에 그치고 있고 사업비도 대덕구에 배정된 금액은 725억원으로 전체의 2%에 불과하다.

반면에 중구는 20건에 액수는 3천 925억원, 유성구는 19건에 9천 823억원으로 대덕구에 비해 각각 5배와 10배 이상이 많다.

대덕구는 이 같은 계획은 대전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도 개선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용기 대덕구청장은 "대덕구는 그동안 신도심도 아니고 구도심도 아니라는 이유로 투자에서 소외돼 왔는데 5년동안 편중된 투자가 계속된다면 불균형은 더욱 심화된다"며 중기재정계획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대덕구는 4개 산업단지와 위생처리장,쓰레기 소각장 등을 통해그동안 대전성장의 중요한 기반을 제공해 왔는데도 이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어 소외감은 더 크다고 말한다.

이같은 대덕구의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을 갖고 있어 대전시가 중기 재정계획 수정을 통해 대덕구의 요구를 반영할지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