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촌동 아파트 '수백억 폭리' 논란
2006-09-20 편집국
10만원 안 팎의 헐 값 토지를 갖고 평당 740만원대 주택분양을 한 것으로 파악돼 시공업체 배불리기에 건축주들만 들러리를 선 것 아니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또 사실상 기획부동산 성격이 짙어 세금탈루 여부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대전지역 건설업 전문가들에 따르면 연구원주택 시공업체 측은 모두 150세대에 달하는 동호인 주택 분양을 통해 천문학적인 개발이익이 예상된다.
53평과 63평, 73평 등 대형 평수로 채워진 원촌동 동호인 주택은 2002년 평당 480만원에 분양공고를 냈다가 지난해 계약 당시엔 평당 740만원으로 분양가가 급상승했다.
이에 따라 실분양가는 53평 3억9000만원, 73평 5억4000만원 수준에서 공급됐으며, 150세대 분양이 완료됐다면 총 분양액은 최소 600억원을 넘는다.
그러나 이들 분양가는 토지와 대지 조성비, 건축비, 금융비용 등을 고려해도 턱 없이 부풀려졌다는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견해다.
국내 최고급 주택도 평당 건축비가 350만원 안팎이란 점을 감안하면 한 채당 수백만원대의 땅 값 차익이 시공업체측에 다른 명목으로 돌아간 것이다.
실제 원촌동 동호인 주택 부지의 대부분 소유주는 시공업체와 직간접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들 부지는 대덕연구단지의 자연녹지내 위치했다는 특성상 1년전 개별공시지가가 10만원 안 팎에 불과한 헐 값 토지였다.
평당 분양가가 엇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전 서남부 1단계 개발지역도 보상비와 토지조성비 등을 포함한 택지조성 가격은 평당 500만원 정도로 추정돼 연구원 주택 시공업체의 시세 차익이 어느 수준인지 가늠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연구원 주택은 원가 기준보다 주변 아파트 시세대로 책정됐다고 보면 된다"며 "외관상 제대로 장사한 셈"이라고 귀띔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사실상 기획부동산 성격도 없지 않다"며 "최초 토지가격과 분양과정에서 나타난 각종 시세차익이 상당해 업체 입장에서도 향후 수사방향과 함께 세금 부분을 어떻게 해결할 지 고민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