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갑) 강영삼 예비후보, 1차 공약발표회 개최

국회의원 연봉 50% 줄이고 벌점 제도 도입 주장

2016-03-02     조홍기 기자

정의당 강영삼 예비후보가 2일 오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층 기자실에서 제1차 공약발표회를 개최하고 정치개혁, 특권해소, 보육과 교육, 청년 공약 등 4개 분야에 걸쳐 15개 항의 공약을 발표했다.

강영삼 후보는 지역공약에 앞서 정치개혁 공약, 특권 해소와 관련된 공약을 먼저 발표하는 이유로 “국민들은 기득권층의 횡포와 반칙 앞에 좌절하고 있다”면서

“상식이 작동하지 않고 있고, 권력과 돈이 없으면 보통의 국민은 아무리 노력해도 더 나은 위치로 올라갈 수 없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강영삼 후보는 “국회의원 연봉을 50%로 줄이고, 회의에 제대로 출석하지 않은 의원에 대해서는 마이너스수당 등 벌점 제도를 도입하며, 양당지역독점체제를 허물기 위해 연동형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며, 비례대표제를 늘려 장애인, 여성, 청년, 비정규직, 자영업자의 국회 진출기회를 확대하겠다”는 것을 정치개혁 공약으로 제시했다.

기득권층의 특권해소를 위해 국회의원·고위공직자 자녀의 취업 특혜 금지, 군대 면제 철저 검증과 재벌 대기업의 일감 몰아주기 등 반칙 근절, 중소기업적합업종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통한 골목상권 보호 등을 제시했다.

한편, 강 후보는 총선 야권연대와 관련 “이미 심상정 대표가 범야권 전략협의체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 제안한 상태로, 이는 정권교체와 새누리당 독주를 막자는 국민들의 절실한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기 때문에 내린 결단” 이라며

“다만 이는 상호 가치와 존중 속에서 당 대 당 협상을 통해 합리적 방안이 도출되면 대승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지 정의당 존재를 무시하고 지역별 일대일로 가자면 우리는 끝까지 완주할 것” 이라고 못 박았다.

또한, 강 후보는 정치인의 특권 없애기 운동은 정치인에게만 맡길 수 없기 때문에, 당선 여부와 상관없이 4.13 총선 후 ‘(가칭)특권없애기국민운동본부’를 결성해 정치인의 특권을 비롯해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기득권층의 특권과 반칙을 해소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