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대전이전 기피한다
"대전은 1.1% 불과 꼴찌"
국내 기업들의 지방이전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6월까지 대전지역으로 이전한 기업이 단 한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국회 산업자원위원회 권선택 의원(무소속)이 20일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 앞서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02년 82건에 불과하던 국내기업의 지방이전은 지난해 310건으로 증가한데 이어 올해 6월까지 146건이 이뤄졌으나, 그 중 대전지역으로의 이전은 단 한건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자체들의 기업유치 경쟁이 활발하고, 기업 유치의 성패가 향후 해당지역의 성장 및 발전과 직결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같은 결과는 충격적이다.
권 의원은 “기업들의 특정지역 선호와 집중현상이 심화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2004년 12건, 2005년 15건에 달하던 대전이전이 올 상반기 중 단 한건도 없었다는 것은 심각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며 "향후 대전의 성장동력이 될 기업유치를 위해 대전시는 물론 국회의원과 학계, 시민 등 모두가 나서서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또한 “한국산업단지공단이 2004년 9월 실시한 기업의 지방이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방이전 계획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380개사의 이전 희망지역을 물은 결과 전체의 56.1%인 213개사가 경기도를 꼽았고, 대전으로의 이전을 희망한 업체는 1.1%인 4개사에 불과했다"며 "무엇보다 기업들의 기피 원인을 분석하고, 유치를 위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편, 권 의원은 이날 국감 질의를 통해 “산자부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역점적으로 마련한 "기업환경개선종합대책"이 기업 지방이전에 장애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하는 한편 "국토의 균형발전 측면에서라도 기업의 지방이전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책을 검토하라"고 촉구했다.